혁명씩이나 했는데 왕을 왕으로 바꾸었을 뿐
중간층의 피로를 야기한 전략에 대한 교훈은 얻을 수 있어눈물 흘리기 전에 앙졸라가 아닌 장발장의 염려를 껴안아야
단도직입적인 질문. 영화 은 힐링 텍스트인가. 이 질문은 일단 캐머런 매 킨토시의 뮤지컬·영화 버전에 국한한 것이 다(빅토르 위고의 원작과 뮤지컬·영화 버전 은 매우 듬성듬성한 차원에서의 이야기 얼 개를 제외하고는 같은 텍스트로 엮기 곤란 하다).
확실히 에는 관객의 마음을 고양시킬 수 있는 드라마가 있다. 원전의 내 용을 확대·축소하거나 아예 바꾸고 생략해 버린 뮤지컬의 각색 방향은 애초 그런 감정 의 폭발을 의도한 것이었다. 그러나 야권 지 지층이 에서 대선 패배의 후유 증을 치유받고 있다고 하면 이건 좀 엉뚱한 문제가 된다. 패배 원인을 상대 진영의 거짓 과 기만으로 돌리고 개표부정 같은 음모론 으로 ‘힐링’하며 을 인용한다 는 건 좀체 앞뒤가 맞지 않는 일이다.
의 주요 이야기는 1830년의 7월혁명 전후에 걸쳐 있다. 이미 프랑스는 1789년의 대혁명과 공화정 수립 이후 제1제 국, 그리고 왕정복고라는 황당한 과정을 고 스란히 겪은 상황이다. 7월혁명은 왕정복고 로 인한 반동의 역사를 되돌리려는 노력이 었다. 수많은 공화주의자들의 피가 뿌려졌 고, 결국 샤를 10세를 끌어내리는 데 성공했 다. 그러나 급진주의를 두려워한 온건 자유 주의자들은 정작 피를 뿌린 공화파의 주검 위에 올라서서 새로운 왕 루이 필리프를 옹 립했다.
그에 대한 공화파의 불만과 경제 악화, 콜 레라 같은 악재가 겹쳐 발발한 것이 1832년 의 파리 봉기, 즉 의 후반 무대 인 6월 봉기다. 영화에서 볼 수 있듯 말 그대 로 처참하게 실패한 항쟁이었다. 민중은 극 심한 피로감을 느끼고 있었다. 혁명씩이나 해놓고 고작 왕을 다른 왕으로 바꾸었을 뿐 인데다(항쟁씩이나 해놓고 고작 전두환이 노태우로 교체된 데 따른 결과적 피로감을 떠올려보시라), 생활은 전보다 훨씬 형편없 어졌다. 극중 앙졸라는 민중이 당연히 나서 서 도와주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이들은 민 중의 피로를 상쇄할 어떠한 대안도 비전도 제시하지 못했고 그저 당위에만 골몰해 있 을 뿐이었다.
만약 로부터 대선 패배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설명을 끄집어낼 수 있 다면, 그것은 상대를 절대악으로 규정하고 수사적인 품성론에 집중한 전략이 중간층 의 피로를 야기했다는 점일 것이다. 극단적 인 진영 논리로 가능한 최대치를 동원했다. 75.8% 투표율에 과반 지지로 졌다. 그렇다 면 이와 같은 전략은 폐기 처분해야 마땅하 다. 그럼에도 여전히 바리케이드 뒤의 공화 파에 감정을 이입하며 좌절된 혁명과 대선 패배를 같은 층위에 두고 “민중의 노랫소리 가 들리는가”를 음미하며 낭만에의 보상을 찾는다면 이 판에는 영영 답이 없다.
이 제시하는 이슈는 정의의 궁극적 승리 따위가 아니다. 장발장과 자베 르가 벌이는 신념에의 대결, 장발장과 코제 트, 마리우스의 마지막 해후는 무엇을 의미 하나. 혁명이라는 거대 서사의 소용돌이 안 에서조차, 서로 다른 가치관과 계급과 세대 에 속한 이들을 공히 구원할 수 있는 것은 오직 개인의 평생에 걸친 자기 비판과 성찰, 그리고 그로부터 얻어지는 박애뿐이라는 사 실이다. 우리는 이 숭고한 이야기에 눈물을 흘리기 이전에 앙졸라가 아닌 장발장의 염려 를 껴안아야만 한다. 우리가 다음 세대에게 물려줄 수 있는 가장 좋은 것은 무엇인가.
허지웅 문화평론가
라마르크는 박정희, 민중은 김종필일지도
문재인 지지자만 영화를 정치적으로 전유하진 않을지니…‘위안’과 별개로 ‘정세 판단’해야
영화 이 대선에서 패배한 이 들을 ‘힐링’했다. 영화를 보며 그들이 어디에 서 위안을 느꼈을지가 궁금했다. 아마 영화 마지막 장면 바리케이드의 희생자들이 장발 장과 함께 ‘천상의 노래’를 부르며 ‘내일’을 말 하는 곳에서 감동을 받았던 것 같다. 군사정 권 시절 ‘장발장’은 이러한 ‘혁명’의 서사를 거 세해서 소개했단 식의 루머도 떠돌았다. 하 지만 영화의 기반이 된 뮤지컬 역시 에 대한 하나의 해석일 뿐이다. 아동용 혹은 청소년용으로 편집된 ‘명작동화’ 버전을 이것과 비교해서 군사정권의 의도를 추론하 는 것은 별로 신빙성이 없다.
이른바 ‘산업화 세대’가 이 영화를 보고 어 떻게 느낄지 상상해보았다. 영화 초반, 빈민 과 창녀들의 비참한 삶을 보며 그들은 박정 희와 자신들의 노동이 한국 사회를 저런 처 지에서 끌어냈다 생각할지 모른다. 영화 중 반, 청년학생들이 ‘민중을 사랑하는 라마르 크 장군’을 말할 때 그들은 박정희를 떠올렸 을지 모른다. 장군의 죽음을 통해 봉기하는 청년학생들이, 그들이 보기엔 박정희와 함께 봉기한 김종필 등의 청년들로 여겨졌을지 모 른다.
물론 이 역시 무리한 상상이다. 기성세대 라고 해서 자신이 살아낸 한국 현대사의 단 면을 속속들이 파악하고 있지는 않다. 가장 높은 가능성은 그들이 영화 속에서 펼쳐내 는 사건들을 한국 사회와 연결짓지 못하리 란 것이다. 영화 를 보는 이들이 철 거민 투쟁이나 용산 참사를 떠올리지는 못 할 것처럼. 다만 영화의 내용을 정치적으로 전유하는 것이 ‘문재인을 지지한 이들’에게만 가능한 일이 아니란 건 분명하다.
장발장은 혁명에 동참했다기보다는 수양 딸의 장래를 위해 한 청년을 구하러 갔을 뿐 이다. 부모들은 세상이야 어떻게 되든 일단 자신의 자녀에게 무언가를 물려주려고 한다. 박근혜의 승리도 기성세대가 청년세대를 핍 박하려 했기 때문에 나타난 게 아닐 것이다. 오히려 자신과 자녀의 삶을 챙기려는 그들의 자연스러운 선택의 총합이 만들어낸 결과일 것이다. 그리고 야권의 문제는 그러한 ‘자연 스러운 선택’의 과정에 자신들을 ‘선택지’로 제시하는 것에 실패했다는 데 있다.
위안이 필요할 때는 위안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정세 판단은 또 별개다. ‘문재인 지지 자’의 처지와 그들이 패배한 이유는 바리케 이드의 학생의 그것과 사뭇 다르다. 대체로 가난한 민중의 이해관계가 일치하고 차마 봉 기할 수 없는 그들을 일부 활동가가 대변하 는 ‘전위’의 시대와, 다양한 이해관계가 충돌 하고 그들의 모든 정치적 선택의 총합으로 통치자가 결정되는 민주주의 사회 사이에는 결정적 간극이 있다. 결국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작중 인물들에 대한 동일시가 아닌, 우 리 시대에 존재하는 ‘비참한 이들’에 대한 새 로운 관심일 것이다.
한윤형 기자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민주 “윤석열 기소 부정하며 조기대선은 하겠다는 국힘 한심”
‘내란의 밤’ 빗발친 전화 속 질문…시민들이 가장 두려워한 것은
‘윤석열 충암고 동창’ 정재호 주중대사, 탄핵정국 속 이임식
‘윤석열 친구’ 선관위 사무총장도 ‘부정선거론’ 반박했다
서부지법, ‘윤석열 영장판사 탄핵집회 참석 주장’ 신평 고발
권영세 “‘공수처 굴종’ 검찰총장 사퇴하라”…국힘, 검찰 일제히 비판
“새해 벌 많이 받으세요”…국힘 외면하는 설 민심
‘뿔 달린 전광훈 현수막’ 소송…대법 “공인으로 감당해야 할 정도”
당진영덕고속도로서 28중 추돌…눈길 교통사고 잇따라
설 연휴 내일도 전국 많은 눈…중부 영하 10도 밑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