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1월1일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반도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부서진 마을 접근 도로의 피해 상황을 보는 주민들. 일본 서부를 강타한 지진으로 이시카와현은 큰 피해를 입었다. 일본 당국은 앞으로 더 많은 여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24년 첫날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반도에서 규모 7.6의 강진이 발생한 지 열흘이 지나면서 피해 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다. 1월9일에는 노토반도 북쪽에서 진도 6의 강진이 또 일어났다. 일본 기상청은 노토반도 일대에서 새해 첫날 강진 이후 진도 1 이상의 지진이 1200차례 이상 관측됐다고 발표했다. 1월10일 기준으로 사망자는 203명, 부상자는 565명, 행방불명자는 102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 가운데 6명은 피난민이다.

지진 발생 뒤 일어난 화재로 일본의 3대 아침 시장으로 유명한 관광지였던 이시카와현 와지마시의 상업지역과 주택이 완전히 소실됐다.
일본에서는 피난 생활에 따른 지병 악화와 피로, 정신적 스트레스로 사망하는 사례를 ‘재해 관련사’로 분류한다. 1만6천 가구는 전기가 끊겼고, 수도가 끊긴 가구는 5만9천 가구에 이른다. 도로가 끊겨 접근이 어려운 고립지의 주민도 24곳 3300명으로 파악됐다. 이시카와현 피난소 390여 곳에는 2만8천여 명이 모여 있다. 피난소에서 코로나19와 독감, 노로바이러스 등 감염병도 확산하고 있다.
광고

강진 발생 뒤 일본 이시카와현 스즈시의 한 학교 운동장에 접이식 의자로 구조를 바라는 SOS 표시가 돼 있다.

지진 발생 뒤 일어난 화재로 일본의 3대 아침 시장으로 유명한 관광지였던 이시카와현 와지마시의 상업지역과 주택이 완전히 소실됐다.
지진으로 도로가 끊긴 상황에서 적설량 10㎝를 넘는 눈마저 내리면서 피난민에게 식량과 담요 등 필요 물자를 제때 전달하기가 어려워진 상황이다. 일본 정부는 피난민 중 노약자를 다른 지역의 호텔 등 더 안전하고 청결한 피난처로 이동시키는 ‘2차 피난’을 계획 중이다.
광고

지진 발생 이틀째인 1월2일 대피소로 개조된 비닐하우스에서 지내는 이시카와현 와지마시 주민들.

이시카와현 와지마시에서 쓰러진 건물을 살피고 있는 구조대원들.
사진 교도 연합뉴스·AP 연합뉴스·REUTERS, 글 박승화 선임기자 eyeshoot@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속보] 미국, 한국 25% 등 상호관세 발효…중국엔 104%
우원식 “개헌 논의 미루자…한덕수가 정국 혼란 야기”
계엄 직후 “사인으로 돌아가겠다”던 이완규, 이제는 ‘사퇴 거부’
“김건희 면박에 강아지 안고 웃기만”…윤석열 캠프 대변인 증언
홍준표 “용산 대통령실은 불통·주술의 상징…다시 청와대로”
이재명 ‘대표’의 마지막 지시는 ‘이완규 임명 저지와 추경’
너도 가담했지? [그림판]
마은혁 헌법재판관 취임…“민주공화국 흔들리지 않도록 힘 보태겠다”
대선 출마 이재명, 당대표 사퇴…“국민과 역경 함께하겠다”
김이수 전 헌법재판관 “윤 파면, 헌재 내부 상당한 논쟁 있었던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