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최후의 구상나무

한라산 구상나무 집단 고사 지역
등록 2021-10-13 17:16 수정 2021-10-15 01:28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를 따라 해발 1700m 높이의 구상나무 군락지에 도착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연구팀이 하얗게 말라 죽은 구상나무를 살피고 있다. 능선 너머로 한라산 주변 오름과 제주시 구좌읍 동복·북촌풍력발전단지가 보인다.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를 따라 해발 1700m 높이의 구상나무 군락지에 도착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연구팀이 하얗게 말라 죽은 구상나무를 살피고 있다. 능선 너머로 한라산 주변 오름과 제주시 구좌읍 동복·북촌풍력발전단지가 보인다.

멸종위기 고산지역 침엽수종 모니터링팀과 함께 9월23일 한라산 구상나무 집단 고사 지역을 찾았다. 한라산 진달래밭 대피소(해발 1500m) 헬리콥터 착륙장에 내려 백록담 정상을 향했다. 카메라와 장비를 짊어지고 30여 분 산행 끝에 해발 1700m 높이에 오르자, 사철 푸른 잎을 자랑하던 구상나무들이 온통 하얗게 말라 죽어 있다. 가지가 원뿔 모양으로 자라는 구상나무는 유럽에선 한국 전나무로 부르며 크리스마스트리를 상징하는 나무가 되었다. 한라산·지리산 등 우리나라 고산지역에서만 자라는 특산종이다. 급격히 수가 줄고 있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했다.

구상나무의 고사는 기온 상승에 따른 기후변화가 주요 원인이지만, 가뭄 등 수분 부족 스트레스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 같은 산에서도 지형과 토양층의 영향을 받는다. 산림청과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연구팀, 녹색연합 조사팀은 2017년부터 구상나무를 포함한 멸종위기 고산지역 침엽수에 대한 실태를 조사해왔다. 전국에서 500개 지점을 골라 2년에 한 차례씩 나무의 생육 상태, 주변 환경과 어린나무(치수) 발생 현황, 고사목의 변화 등을 조사하고 있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연구팀이 고사한 구상나무의 가슴높이지름과 어린나무의 키를 재고 있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연구팀이 고사한 구상나무의 가슴높이지름과 어린나무의 키를 재고 있다.

녹색연합 조사팀이 산림청 산불진화용 KA-32 헬리콥터 항공모니터링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헬기가 비행하는 동안 이 카메라엔 고산지역 침엽수 피해 상황이 기록된다.

녹색연합 조사팀이 산림청 산불진화용 KA-32 헬리콥터 항공모니터링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헬기가 비행하는 동안 이 카메라엔 고산지역 침엽수 피해 상황이 기록된다.

연구팀은 조사 지역에서 나무의 생육 상태를 파악하고 주변 환경과 어린나무(치수) 현황, 토양 채취 분석 등을 통해 고산 침엽수 고사 원인을 찾는다.

연구팀은 조사 지역에서 나무의 생육 상태를 파악하고 주변 환경과 어린나무(치수) 현황, 토양 채취 분석 등을 통해 고산 침엽수 고사 원인을 찾는다.

성판악 등산로 주변 구상나무와 주목 군락. 전체 고산 침엽수 중 40%가량이 말라 죽었다.

성판악 등산로 주변 구상나무와 주목 군락. 전체 고산 침엽수 중 40%가량이 말라 죽었다.

제주=사진·글 김진수 선임기자 jsk@hani.co.kr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