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낮 최고기온이 34도까지 올라간 7월18일 밤 10시31분, 서울 여의도동 원효대교 아래 한강 둔치에서 더위를 피해 나온 사람들이 거리두기를 하느라 드문드문 앉아 여름밤을 보내고 있다.
감염병에 갇히고 폭염에 달궈진 2021년 여름, 시민들은 갈 곳이 마땅찮다. 한낮을 달군 해가 지평선 저편으로 넘어갈 무렵, 이른 저녁 식사를 마친 시민들이 한강 둔치를 찾는다. 다리 상판이 해를 가려 지열을 머금지 않은 대교 아래가 명당이다. 낮 최고기온이 34도를 넘긴 7월18일 저녁 8시, 서울 여의도 원효대교 아래 한강 둔치를 찾은 시민들이 서늘한 강바람에 끈적한 땀을 식히고 있었다. 방역 지침에 따라 거리를 두느라 드문드문 앉았다. 아이들과 함께한 가족 단위 피서객 사이에 젊은 연인들도 눈에 띈다. 오리배가 떠다니는 강 위에서는 이따금 수상스키를 매단 모터보트가 물보라를 일으키며 지나간다. 어둠이 내리자 유람선 배터 주변의 형형색색 조명이 불을 밝힌다.
한강시민공원 질서단속요원이 순찰을 돌며 벤치와 오두막을 두른 이용 금지 테이프를 점검한다. 그 옆 잔디밭에선 잠자리를 잡는 아이들의 발소리가 수선스럽다. 9시40분께 갑작스레 소나기가 퍼부었다. 아열대 지역 ‘스콜’처럼 제법 굵은 빗방울이 한동안 쏟아진다. 대부분 가족들이 우산을 받쳐든 채 귀가를 서두른다. 그래도 지나가는 밤이 아쉬운 연인들은 다리 아래로 모여든다. 10시30분께 비가 그치고, 한결 시원해진 밤바람이 불어온다. 수면에 비친 다리 불빛에 연인들의 실루엣이 반짝인다.

7월18일 저녁 8시, 가족과 함께 한강 둔치를 찾은 어린이가 ‘거품총’ 장난감으로 비눗방울을 허공에 날리고 있다.
광고

8시11분, 해가 지평선 저편으로 넘어가자 유람선 배터 들머리 조명에 불이 들어온다.

8시17분, 한강 둔치 잔디밭에서 가족들이 쉬고 있다. 킥보드에 걸어놓은 마스크가 눈에 띈다.

8시26분, 질서단속요원이 둔치 오두막에 시민들이 머무는 것을 막으려고 위험 경고 띠를 두르고 있다.

8시41분, 잔디밭에서 쉬던 두 사람이 다리를 하늘로 뻗어보고 있다.
광고

10시28분, 갑작스레 굵은 소나기가 내리자 사람들이 우산을 받쳐들고 있다.

10시55분, 밤이 깊어지자 하나둘 자리를 뜨고 있다.
사진·글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대답 떠먹여준 지귀연…직업 대독하자 윤 ‘고개만 끄덕’
[단독] 윤석열, 나랏돈으로 캣타워 500만원에 ‘히노키 욕조’ 2천만원
기억하세요, 희망은 좋은 것입니다 [그림판]
[영상] 윤석열, 헌재 판단도 깡그리 부정하며 93분 ‘궤변 퍼레이드’
공수처 인사위원이 한덕수 고소…“검사 7명 임명 미뤄 직무유기”
한덕수 “나와 통화 뒤 관세 유예” 자화자찬…‘알래스카 LNG’ 급발진
“마지막 소명” 언급한 한덕수…전략적 모호성 유지하며 출마 저울질
검찰, ‘김혜경 법카’ 항소심서 벌금 300만원 구형…내달 12일 선고
스포츠윤리센터, 유승민 징계 요청…“탁구협회 후원금 유치 근거 없어”
백종원 출연 ‘남극의 셰프’, 첫 방송 연기…“편성 일정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