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을 만들 때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존재는 컴퓨터와 펜 태블릿이다. 그림을 그리는 작업이 디지털화돼 종이에 그림을 그리는 데서 벗어나 컴퓨터에 직접 그림을 그리려고 고안된 도구가 펜 태블릿이다. 펜 태블릿 앞의 연필심같이 생긴 플라스틱 심이 매끄러운 태블릿 바닥에 문질러져 그 플라스틱 심이 다 닳아 없어질 때쯤 한 편의 애니메이션이 탄생한다.
이 제작에 들어간 2010년 9월부터 2011년 4월까지 나는 이라는 이야기에 생명력을 넣으려고 매일 펜 태블릿으로 컴퓨터에 그림을 그렸다. 애니메이션 제작이란 캐릭터들의 감정이 관객과 만나게 하려고 컴퓨터의 빈 백지 위에 선으로 된 그림을 조금씩 그려가는 일이다.
한국에서는 애니메이션 산업을 아이디어로 승부해 적게 일하고 떼돈을 버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인 양 생각하지만 사실 애니메이션 작업은 90%가 노동이다. 애니메이션은 뜨개질이나 십자수와 같다. 매일 조금씩 그려나가다 보면 영화 한 편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 지루한 작업엔 딱히 이렇다 할 꼼수가 없다. 내가 애니메이션을 사랑하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 하루하루 그림을 그리면 꼭 그만큼 영화가 완성된다. 영화 속 시간 1초에 12장씩 그리다 보면 그림 안에 있는 무언가가 움직이고 생각하고 기뻐하고 고통받기도 하며 생명을 얻는다. 다시 말하지만 애니메이션의 90%는 노동이다. 아이디어를 가지고 이야기를 얽어내는 작업은 기획 초반에 끝나고 이후부터는 지루한 시간 동안 뚝심 있게 노동하는 것 외엔 다른 방법이 없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뚝심으로 버텨가는 90% 손노동의 가치를 너무 쉽게 생각하는 분위기다. 마치 애니메이션 한 편이 10%도 안 되는 아이디어만으로 만들어진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들에겐 효율적으로 큰 효과를 거두는 산업이라서 애니메이션이 구미가 당기겠지만 대부분의 애니메이터들은 어찌 보면 지루한 그 작업의 순간들에서 만족을 얻는다.
애니메이션 감독으로서 환희를 느끼는 순간은 시나리오를 처음 쓸 때도 아니고 콘티를 완성했을 때도 아니다. 한땀 한땀 그려가며 생각했던 무언가가 눈앞에서 조금씩 살아날 때, 펜 태블릿을 쥐고 하루 종일 부지런히 노동한 덕분에 손목이 저려 펴기도 힘든 그런 하루를 보낸 뒤 그만큼 모양새를 갖춰가는 영화를 바라볼 때, 환희는 그때 찾아온다.
애니메이션 감독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다음 대통령, 이재명의 민주당 아닌 ‘민주당의 이재명’이라야 된다
서울 도심에 10만 촛불…“윤석열 거부, 민주주의 망가질 것 같아”
이 풍경이 한국이라니…초겨울 다음 여행 후보지 3곳
김영선 두 동생, 창원산단 발표 한달 전 인근 주택 ‘공동구입’
“못 판 걸 어쩌라고”…과일 도매 10년, 오늘도 사장님한테 돈을 떼였다 [.txt]
위성보다 정확한 바다거북…탄소 먹는 해초군락 찾아낸다
한동훈, 정년 연장이 청년 기회 뺏는다는 지적에 “굉장히 적확”
‘미친놈’ 소리 들으며 3대가 키우는 정원, 세계적 명소로
‘TV 수신료 통합징수법’ 국회 소위 통과에…KBS 직능단체 “환영”
어도어와 계약 해지한 뉴진스, 왜 소송은 안 한다 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