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성즉시공 공즉시성

이병남 LG인화원장의 피아노
등록 2012-09-26 14:35 수정 2020-05-03 04:26
이병남 제공

이병남 제공

내가 세상에서 제일 무서워하는 게 치과에서 쓰는 마취용 주사다. 스테인리스 쟁반에 놓인 팔뚝만 한 마취주사기의 기다란 바늘을 보는 순간 가슴이 뛰기 시작한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치과의사들의 각별한 관심을 받아온 데서 비롯된 일종의 트라우마다. 몇 주 전 어금니 하나를 포기할 때 얘기다. 심호흡을 하고 진땀을 흘리며 치과의자에 누워 있는데, 갑자기 강렬한 피아노 연주가 나오는 게 아닌가. 원래 치과병원에선 나지막하고 은은한, 이른바 ‘치과 전용 음악’이 나오는데, 이날은 너무나 뜻밖에도 영화 의 OST 마이클 니먼의 연주가 들렸다. 영화 자체가 인간 영혼의 아주 깊은 부분을 마구 들쑤시는데다 피아노 연주곡들이 처절하고 격렬해 경우에 따라서는 듣기 힘들 정도로 과격한데, 이날은 달랐다. 그 곡들이 귓속에 쏙쏙 들어오는 게 아닌가! 문득 가슴 아팠던 일이 떠오르고 피아노 음률이 마치 묘약같이 스며들었다. ‘아, 음악치료라는 게 이런 거구나’ ‘아플 때는 아픈 음악이, 슬플 때는 슬픈 음악이, 우울할 때는 우울한 음악이 약이구나’ 하는 걸 깨달았다.

집에 낡은 피아노가 한 대 있다. 아마 1985년쯤이었을 텐데 가난한 유학생 시절, 그때 5살 된 큰딸아이에게 피아노를 가르치고 싶었다. 책 한 권 두께의 일간지 일요일판 광고 섹션을 몇 주간 보며 괜찮은 중고 피아노를 찾았다. 드디어 괜찮은 게 하나 나왔다. 직업 연주가가 10여 년 쓰던 건데 해외로 이주하며 팔려고 내놨다는 거다. 그런데 팔겠다는 사람의 집이 내가 사는 곳에서 한 70마일 떨어진 시골이었다. 운반이 난감했다. 미국 친구가 내 사정을 알고 자신의 픽업트럭을 갖고 다른 친구 몇 명과 함께 그걸 싣고 왔다. 역시 아이 하나를 키우는 데는 온 마을이 필요한 것이다. 1천여달러 준 것 같은데, 당시 네 식구가 한 달에 800달러 정도로 살았으니 엄청난 투자였다. 아무튼 그 피아노를 산 뒤로 미국에서만도 5번을 이사했고, 1995년 15년간의 미국 생활을 정리하고 귀국한 이후로는 국내에서만 7번을 이사했다. 그때마다 피아노는 늘 나와 함께했다. 내가 가족들과 떨어져 살게 되었을 때도 피아노만큼은 반드시 데리고 다녔다.

며칠 전, 탁월한 음악 해설가인 한 친구가 태풍을 보내고 나서 음악 선물을 보내왔다. 쇼팽의 (야상곡) G단조 OP.37-1. 이 곡은 많이 들어서 익숙한 편인데, 그 친구는 음표와 음표 사이의 여백을 가장 잘 표현한다는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의 연주이니 들어보라고 했다. 음표와 음표 사이의 빈 공간을 음 아닌 음으로 채워넣는 루빈스타인의 연주를 들으며 드는 생각, 귀(耳)가 제대로면, 성즉시공 공즉시성(聲卽是空 空卽是聲)이다! 내 낡은 피아노는 쳐다보기만 해도 좋다!

이병남 LG인화원장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