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9월14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에서 ‘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 S&P 기준으로 중국과 일본은 우리보다 한 단계 높은 ‘AA-’ 등급이다. 지난 8월27일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도 한국의 신용등급을 역대 최고인 ‘Aa3’(안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9월6일에는 피치가 일본보다 높은 ‘AA-’로 한국 등급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3개 신용평가사 종합 기준으로 1996~97년 기록했던 역대 최고 등급 수준을 15년 만에 회복하게 됐다.
S&P는 등급 상향 이유로 “북한의 원만한 권력 승계로 갑작스런 붕괴 등 급변 위험이 감소한데다 낮은 국가부채와 대외부채 수준, 예측 가능한 정책 결정” 등을 꼽았다. ‘젊은 핏덩이’ 김정은 정권의 급작스런 붕괴를 꿈꾸는 이들에게는 골치 아픈 등급 상향이다. 그런데 과연 그 사람들이 한국 사회를, 경제를 걱정하기는 할까.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서울대 교수, 사제, 국민까지…“윤석열 파면, 이 판단이 어려운 일인가”
오세훈 부인 강의실 들어갔다가 기소…‘더탐사’ 전 대표 무죄 확정
‘김건희 명품백’ 담당 권익위 전 간부, 순직 인정
영주권 있어도 공항서 체포·추방…공포에 질린 미국 교민들
이재명, ‘한화 꼼수 승계’ 언급하며 “한, 기어이 상법 거부권 쓸 거냐”
사제들 “억장 무너지고 천불이 난다…재판관들, 정의롭게 결정하라”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여성단체 “장제원 고소까지 9년…가해자 처벌할거란 신뢰 못 준 탓”
김수현 “김새론 20살 때 교제…120억 손배소 유족·가세연에 제기”
몸 못 가눈 어르신 ‘화장실도 천리길’…화마가 드러낸 인구소멸지역 민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