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근처에 산다고 말했더니 “숙소에서 자취하니 밥도 잘 못 챙겨주겠네”라는 직장 동료의 말을 들은 윤석씨. 그런데 윤석씨는 요리도 잘하고 행복하다. “(집에 대한) 많은 이야기 중 내 얘기라고 느껴지는 이야기는 없”다고 생각한 1990년대생이자 건축가, 2020년대를 사는 생활인인 이윤석·김정민이 <즐거운 남의 집>(놀 펴냄)을 썼다. 아파트에 살지 않아도, 남의 집이어도, 최소의 집에 살아도 다 그만큼의 삶이 있다. 아파트에 사는 사람이 인구의 50%라니, 절반의 삶이다.
윤석씨와 정민씨는 유튜브를 운영하면서 초대해준 사람들의 집을 방문한다. 자아씨는 여기에 텔레비전, 여기에 소파가 놓이는 집이 아닌 “이렇게 쓸 수 있겠다 싶은” ‘여지가 있는 집’을 찾고 있다. 은화·경수씨는 찬장과 큰 테이블을 넣고 문짝을 떼낸 방을 ‘고주망태의 이산화탄소 방’이라고 부른다. 다람씨는 집주인의 “집 팔려고 내놓았어”라는 말에 “아주머님, 잠깐, 이 집 제가 살게요”라고 하는 전세자로서 극대의 호탕함을 보여주었지만 투자는 ‘내 알 바임?’이었다. 글을 쓴 이윤석은 부동산 중개업체에 ‘좀 특이한 집 없을까요’라고 묻는다. 그가 발견한 마음에 드는 집은 가까운 종교시설 쪽으로 둥그런 창이 난 집과 가로로 긴 집이었다.
집이 고집스럽다면 거주자와 삐걱거릴 수도 있다. 집에 초대해놓고 집의 단점만 이야기하는 유식씨처럼 꼭 집을 사랑해야 하는 건 아니다. 이윤석은 “나에게 집이란”이라는 질문에 대부분이 “집은 바로 나, 나를 담는 그릇”이라고 대답하는 데 대해 이렇게 말한다. “집은 그릇치고 너무 비싸다. 그리고 나를 담기에는 너무 작다. 집은 내가 아니다.” “어디에 사는지가 당신이 누군지를 말”(브랜드 아파트 광고)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이치로, 집은 집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김정민은 집을 찾기 위해 까는 앱 속의 천편일률적인 카테고리 대신 동네를 검색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책을 읽으며 집을 계속 힐끔거렸다. 집과 반려동물과 함께해온 ‘녹’. 옷장 안에 뜨개실 콘사를 놓을 수 있는 선반을 만들었고, 고양이를 키우며 부족하게 된 ‘식물’에 대한 갈증을 베란다에 샤워부스 문을 달아 고양이를 분리시킴으로써 해결했다. 독립한 뒤 처음 산 조립식 책장은 단종 뒤에는 ‘당근’을 통해 사서 덧붙이고 있다. 기르는 고양이는 언제나 뜨갯거리를 넣은 상자 안에서 잠을 잔다. 뜨개옷은 고양이 털과 털실이 번갈아가며 짜인다. 필자들은 이런 것을 ‘발명품’이라고 말한다. 당신도 한번 꼽아보시라.
구둘래 기자 anyone@hani.co.kr
영화의 이론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 지음, 김태환·이경진 옮김, 문학과지성사 펴냄, 4만원
<역사: 끝에서 두 번째 세계> <칼리가리에서 히틀러로>에 이은 크라카우어의 대표작. <칼리가리에서 히틀러로>에서 독일이 어떻게 나치즘을 향해 나아갔는지를 바이마르공화국 시대 영화를 통해 분석한 이후 영화의 매체 속성과 재현, 현실과의 관계를 엄밀하게 들여다본 역작.
전쟁 이후의 세계
박노자 지음, 한겨레출판 펴냄, 2만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3년으로 접어들었다. 러시아 출신의 귀화 한국인 박노자는 푸틴 체제의 억압성만으로는 러시아의 국가 민족주의를 이해할 수 없다며 소련 망국 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왜 러시아에서는 전쟁에 대한 반대 시위가 없는지도 분석 대상이다.
조선인들의 청일전쟁
조재곤 지음, 푸른역사 펴냄, 3만9천원
1894년 7월 시작한 청일전쟁은 이 땅의 ‘고래 싸움’이자 동북아 3국의 운명을 가른 세계사적 사건이었다. ‘조선 사람들이 경험한 청일전쟁’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공문서, 사적인 일기, 참전병 기록, 당시 신문 기사 등 한·중·일의 다양한 사료를 꼼꼼하고 치밀하게 수집하고 중국과 일본의 연구 성과를 섭렵해 청일전쟁을 온전히 그렸다.
이주, 국가를 선택하는 사람들
헤인 데 하스 지음, 김희주 옮김, 세종서적 펴냄, 2만5천원
30년 넘게 이주를 연구해온 사회학자가 이주와 관련한 중요한 질문에 답한다. 이입은 위협인가 해결책인가, 이출은 두뇌유출인가 아닌가,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려면 이입민이 필요한가 그렇지 않은가 등. 찬성론과 반대론이 놓치는 지점을 살핀다. 이주민을 받아들이는 이입국이란 현실을 인정하지 못하는 한국에 보내는 조언도 함께 실었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한덕수·최상목은 왜 저럴까…전직 서기관의 책에 힌트가
윤석열, 변호사 만나 “계엄이 왜 내란이냐…헌법상 권한”
딥시크가 뭐길래 엔비디아가 대폭락해?…중국 AI 돌풍
“형님! 딥시크를 저랑 비교하다니, 너무하십니다” GPT 능청 답변
‘내란의 밤’ 빗발친 전화 속 질문…시민들이 가장 두려워한 것은
부산→서울 5시간20분…경부고속 추돌 사고 탓 양방향 정체
윤상현·김민전·나경원 망언 모음.zip…연휴에 몰아보기
서부지법, ‘윤석열 영장판사 탄핵집회 참석 주장’ 신평 고발
‘뿔 달린 전광훈 현수막’ 소송…대법 “공인으로 감당해야 할 정도”
‘윤석열 친구’ 선관위 사무총장도 ‘부정선거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