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한국인에게 민족은 ‘상상의 공동체’인가

단 한 번도 중국 제국 일부가 되지 않은 한반도의 수수께끼 살핀 <제국과 의로운 민족>
등록 2022-02-20 00:54 수정 2022-02-20 11:27

중국은 세계 4대 문명의 한 발원지이자 거대한 제국이었다. 최초의 통일왕국 진나라 이래 2천 년 동안 중국의 위세는 동아시아를 넘어 유라시아 전역에 뻗쳤다. 20세기 한때 외세의 반식민지로 전락했지만, 21세기 들어 ‘중국 굴기’는 괄목상대 이상이다. 강대국 곁에 사는 것은 힘들다. 티베트, 몽골, 중앙아시아의 많은 주변국이 중국에 편입되고 말았다. 그러나 한반도는 예외다. 1천 년 넘도록 중국의 숱한 제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지만, 단 한 번도 제국의 일부가 되지 않고 독립을 유지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했을까? 냉전사 연구 권위자인 오드 아르네 베스타(미국 예일대 교수)는 최신 저작 <제국과 의로운 민족>(옥창준 옮김, 너머북스 펴냄)에서, 14세기 말 대륙의 원-명 교체기와 한반도의 고려-조선 교체기 이후 ‘한중 관계 600년사’(부제)를 면밀히 들여다보며 그 답을 찾으려 했다.

지은이는 한반도 독립성의 비결로 ‘정체성’과 ‘지식’, 두 가지를 든다. 한반도인의 정체성을 설명하는 열쇳말이 책 제목(원제도 같다)에 쓰인 ‘의로운 민족’이다. 이때 ‘의로움’은 “600여 년간 한반도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성리학(신유학) 사상”의 핵심 가치를 말한다. “조선의 건국은 초창기부터 성리학적 기획”이었다. 이는 “윤리적 수준에서 ‘우리는 누구인가’를 정의하는 것을 넘어 국가, 민족, 공동체를 묶어내는 슬로건”이 됐다. 중국(송) 사상가 주희가 집대성한 성리학(주자학)은 점차 교조화하고 본디 정신이 퇴색했지만, 조선시대 내내 국왕부터 농민까지 거의 모든 인민의 가치관과 일상의 삶을 규정했다. 외침에 맞선 민병대는 ‘의병’(義兵)이었다. 유교 원리는 중국인과 한반도를 하나의 이념 체계로 연결하는 고리이기도 했다.

독립성의 두 번째 비결은 ‘중국에 대한 지식’이었다. 조선 엘리트들은 중국인 자신보다도 제국을 훨씬 더 많이 알았다. 매년 수차례 사신 파견으로 정세와 문물을 파악하고 안보 환경에 대응했다. 대국을 섬기는 ‘사대’는 “중국과 외적의 한반도 간섭을 막는 방식”인 동시에 “조선 정권이 천하의 강대국 중국과 친밀하고 독특한 이웃 국가임을 표현하는 방식”이었다는 게 저자의 해석이다.

이런 특수성을 토대로, 지은이는 조선에서 16세기 무렵이면 외부의 배제나 포섭 없이 ‘민족국가’가 형성된 것으로 본다. 베네딕트 앤더슨을 비롯해 서구의 학계가 ‘민족’이란 개념을 근대의 기획으로 발명된 ‘상상된 공동체’로 해석한 것이 한반도에는 들어맞지 않는다는 시각을 분명히 한 것이다. 저자는 책의 헌정 문구를 “평화와 통일을 이룬 미래의 한반도를 위해”라고 썼을 만큼 한반도 통일에 관심이 크지만, 20세기를 지나면서 양쪽 모두에서 강렬한 민족주의가 부상하는 현상을 우려한다. 권위주의 정권과 중화민족주의가 지배하는 지금의 중국이 향후 한반도에 어떤 태도를 보이느냐도 관건이다.

조일준 선임기자 iljun@hani.co.kr

21이 찜한 새 책

백기완이 없는 거리에서

백기완 노나메기재단 엮음, 돌베개 펴냄, 1만7천원

민중운동가 백기완(1933~2021) 타계 1주기에 맞춰, 강재훈·권영길·김명인·염무웅·백낙청·정태춘·최재봉·한승헌·함세웅 등 43명의 필자가 ‘백기완 선생과 나’라는 주제로 쓴, 고인을 기억하는 글 모음. 장산곶매의 기상, 독창적 민중미학, 혁명을 꿈꾼 로맨티시스트의 ‘한살매’(일생)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시여, 침을 뱉어라

김수영 지음, 이영준 엮음, 민음사 펴냄, 1만4천원

“시작(詩作)은 ‘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고 ‘심장’으로 하는 것도 아니고, ‘온몸’으로 밀고 나가는 것이다.” 시인 김수영(1921~1968)의 시론과 문학론, 시작 노트를 추린 산문집.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제400번으로 나왔다. 1998년 8월 오비디우스 <변신 이야기>로 첫발을 뗀 지 23년여 만이다.

미래의 피해자들은 이겼다

김승섭 지음, 난다 펴냄, 1만5천원

건강 불평등의 구조적 원인과 대안을 천착해온 보건학자가 ‘천안함 침몰 사건’(2010년 3월) 생존 장병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트라우마를 보살핀 실태 조사 보고서. “천안함 사건은 폭침 당일에 한정된 용어가 아니라 이후 한국 사회의 태도를 모두 포괄하는 단어라야 한다.”

유럽 최후의 대국, 우크라이나의 역사

구로카와 유지 지음, 안선주 옮김, 글항아리 펴냄, 1만6천원

우크라이나는 9세기 ‘키예프 루스 공국’까지만 잡아도 1200년 역사를 지녔다. 한때 동로마제국 인구와 맞먹을 만큼 번성했다. 일본의 외교관 출신 학자가 우크라이나의 시원부터 몽골·이슬람·러시아제국의 지배를 거쳐 1991년 옛소련에서 독립한 이후 지금까지 파란만장한 역사를 정리했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