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언어에도 몸이 있다

번역이란 어떤 몸을 바라보고 만지고 결국 그 몸이 되는 구체적인 사건
등록 2022-01-13 12:33 수정 2022-01-14 01:55
에르베 기베르의 <연민의 기록> 번역 작업 중인 책상 위 모습.

에르베 기베르의 <연민의 기록> 번역 작업 중인 책상 위 모습.

전문적으로 번역을 배워본 적 없는 내가 번역을 말할 때 기대는 책이 있다. 책상 위에 늘 펼쳐져 있는 책, 다와다 요코의 <여행하는 말들>이다. 나는 번역하는 동안만큼은 그 책을 덮지 못한다. 불문학을 번역하는 내가 독문학을 번역하는 일본 번역가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게 조금 이상하지만, 내게는 스승이 필요하고, 그 책은 늘 내 물음보다 조금 더 큰 사유를 건네주는 좋은 스승이다.

책을 펼치면 오래 한 자세로 있다가 몸이 굳은 사람처럼 늘 같은 페이지가 열린다. 212쪽. 거기, 선명하게 밑줄 그은, “언어에도 몸이 있다”라는 문장이 단번에 눈에 들어온다. 글에는 의미만이 아닌 몸이 있어서, 그 몸에는 체온, 자세, 아픔, 습관, 개성 같은 것이 있다는 말이다. 일단 그 문장을 읽으면 망막한 번역이 어떤 ‘몸’을 바라보고, 만지고, 결국 그 몸이 되어 보는 구체적인 사건이 된다.

최근에는 프랑스의 포토 칼럼니스트이자 오토픽션(자전소설)을 쓴 작가, 에르베 기베르의 <연민의 기록>을 옮겼다. 성적소수자인 에르베 기베르가 에이즈에 걸린 자신을 매개로 죽음 언저리의 삶을 기록한 글인데, 작가가 자조적 말투로 ‘의학 에세이’라고 할 만큼 에이즈를 앓고 치료하는 과정이 소상히 담겨 있다. 그 작품을 옮기는 동안 내게 주어진 가장 큰 숙제는 에이즈라는 질병 속에서 작가와 함께 병을 체험하는 일이 었다.

육체적 고통을 간접적으로나마 함께 겪고, 눈에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를 이해하고, 성적소수자의 자리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일. 내게는 그 모든 것이 그의 ‘몸’이 되는 일이었고, 그 과정에서 어떤 고통을 이해할수록 내게 찾아오는 물음들이 있었다. 내가 그였다면 절망을 있는 그대로 기록할 수 있었을까. 소수자의 삶을 산 그의 절망은 정말 온전히 개인이 짊어져야 했던 것일까. 에이즈가 소수가 아닌 다수를 위협하는 바이러스였다면 이미 수십 년 전에 백신과 치료법이 나왔을까. 동성애자를 향한 차별적 시선이 없었다면 우리는 그 병으로부터 조금 더 많은 사람을 구했을까.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와의 싸움은 기술과 의학의 발달로 정말 덜 야만적인 것이 되었을까. 어쩌면 이 물음들은 에르베 기베르의 언어가 나를 빌려 오늘의 우리에게 건네고 싶은 말인지도 모르겠다. 그 먼 시간을, 먼 길을 건너온 언어는 그러니까 이렇게 묻고 싶었던 게 아닐까.

2022년, 그곳은 조금 나아졌습니까?

누군가 내 일을 물으면 번역이라는 말보다 글을 ‘옮긴다’라는 동사를 써서 말한다. 동사로 말하는 나는 몸으로 말을 살아내는 사람이 된다. 더 오래 엉덩이로 버티고, 납작한 활자가 아닌 피와 살과 뼈가 있는 사람의 이야기를 만지는 마음으로 단어를 고른다. 이는 어쩌면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적극적인 창작일 것이다. ‘옮긴다’는 말속에는 머물던 곳을 벗어나 새로운 곳을 향하는 이동의 의미가 있고 그 걸음에는 새로운 시선과 발견, 길의 확장이 있으니 그것이 창작이 아니라면 무엇일까.

오늘도 나는 언어라는 몸을 마주하고, 그것을 등에 업고 옮긴다. 작가의 커다란 언어의 무게로 바뀌는 내 자세는 결국 내 몸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얼마나 아름다울까, 그들의 언어가 머물다 간 나의 몸은. 사랑하는 이를 맞이하는 모든 자세가 그렇듯, 더 굽어지고 더 꺾이길 희망한다.

글·사진 신유진 번역가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