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겨울밭에서 준비 중인 찬란한 탄생

붙어 있는 사마귀 알집이 다치지 않도록 고추 지지대를 조심스럽게 쟁여놓으며
등록 2021-12-22 23:16 수정 2021-12-23 10:41
고추 지지대에 들러붙은 사마귀 알집.

고추 지지대에 들러붙은 사마귀 알집.

이미 서리가 여러 번 다녀간 12월 초 주말, 밭에서 뒤늦게 고추 지지대를 뽑았다. 고추 줄기는 워낙 잘 쓰러지는 탓에 봄에 모종을 심은 뒤 한 줄기마다 지지대를 하나씩 세워줘야 한다. 시골 동네 철물점에 가면 길이에 따라 지지대 1개당 500~1천원에 판다. 이래저래 사 모은 지지대가 얼추 100여 개다. 든든하다. 이만하면 나도 이 밭에선 자산가다.

고춧잎이 시든 지도 오래, 진작에 다 뽑아 평상 아래 가지런히 정리해놓아야 했으나 얼치기 농군이 게으르기까지 해서 좀 늦었다. 월급 받고 일하는 회사에선 내 일을 끝마쳐야 다음 공정을 맡은 동료가 작업할 수 있다. 내가 약속한 시각에 제때 기사 출고를 하지 못하면 “신문 안 만들 거냐”는 편집부 동료의, 때론 격렬한 타박을 들어야 한다. 하지만 어쩌랴. 여긴 회사가 아니라 밭인데…. 작업 통제 권한을 나 혼자 행사하고 그 책임도 전적으로 내가 진다. 밭에선 나도 자영업자란 말이다.

지지대를 뽑고 있는 밭 풍경은 쓸쓸하다. 을씨년스럽다. 겨울이란 한 방향을 향해 이미 서너 발걸음이나 무겁게 내디딘 탓이다. 들깨는 이미 털었고, 더덕 씨앗도 다 받아놓았다. 몇 달 전 뽑혀 여기저기 널브러진 옥수수 줄기며 풀이며 죄다 말라 비틀어졌다. 생명력이라곤 찾기 어렵다. 3년에 걸친 한국전쟁 뒤 망해버린 국토와 모든 걸 잃어버린 사람들의 상실감을 다룬 명곡 <봄날은 간다>(1954년)의 노랫말처럼 말이다. “꽃이 피면 같이 웃고 꽃이 지면 같이 울던 알뜰한 그 맹세”에 봄날이 가고 “별이 뜨면 서로 웃고 별이 지면 서로 울던 실없는 그 기약”에 봄날이 간다고 하지 않았던가. 2021년 나의 알뜰한 맹세와 실없는 기약은 무엇이었던가.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

나지막이 노래를 흥얼거리며 뽑던 지지대에서 작은 스펀지 덩어리처럼 생긴 게 붙어 있음을 발견했다. 자세히 보니 사마귀 알이다. 이런 고춧대는 한두 개가 아니다. 사마귀는 봄에 알에서 나와 초겨울에 죽는데, 이에 앞서 교배를 마친 암컷이 대개 식물의 굵은 가지 같은 곳에 알을 낳는다. 내 밭의 사마귀는 고추 지지대를 산란 장소로 택한 것이다. 지난해 곤충 사육을 좋아하는 큰아들을 위해 밭에서 잡아온 사마귀를 집에서 키웠는데, 어느 날 그 녀석이 배 뒤쪽 산란관에서 하얀 치약 거품 같은 액체를 내뿜는 걸 보고 깜짝 놀란 적 있다. 시간이 지나면 갈색으로 겉이 변하는데, 겨우내 추위로부터 그 안에 있는 알을 보호하는 막이란다.

내년 봄에 곤충 가운데 상위 포식자인 사마귀의 새끼들이 바글거리며 막을 뚫고 밭으로 기어나올 테다. 그러고는 봄날 작물의 연한 잎을 뜯어먹어 내 미움을 사는 메뚜기며 방아깨비를 잡아먹고 살겠지. 사마귀는 대체로 육식성이라 작물을 먹지 않는다. 나로선 고마운 일이다. 고추 지지대에 붙은 사마귀 알이 다치지 않도록 조심스레 쟁여놓았다.

모든 게 끝났다고 생각한 겨울 밭에서도 사마귀는 제 생명을 마칠 무렵 내년 봄의 찬란한 탄생을 조용히 준비하고 있었다. 어쩌면 겨울은 생명 순환의 끝자락이 아니라 시작점일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든다.

글·사진 전종휘 한겨레 사회에디터 symbio@hani.co.kr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