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뉴스 큐레이터] 인생이 무기력하다고 느낄 땐 ‘소울’

등록 2021-01-30 03:15 수정 2021-01-30 14:56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누리집 갈무리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누리집 갈무리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최저 관객 수를 기록하던 극장가에 활력을 불어넣는 작품이 나타났다. 개봉 첫 주 만에 40만 관객 동원에 성공한 디즈니·픽사의 애니메이션 <소울> 얘기다.

꿈을 이루는 이야기에 사람들은 열광한다. 하지만 꿈이 현실이 되고 나서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업> <인사이드 아웃>으로 큰 성공을 이룬 피트 닥터 감독 역시 비슷한 고민을 했다. ‘운 좋게도 좋아하는 분야에서 성공을 이루었지만, 꿈을 좇는 것보다 인생에서 더 중요한 일을 잊고 사는 게 아닐까?’ <소울>은 이런 의문에 빠진 한 예술가에 대한 이야기다.

뉴욕에서 음악 선생님으로 일하던 ‘조’는 꿈에 그리던 최고의 밴드와 재즈 클럽에서 연주하게 된 그날, 예기치 못한 사고로 죽음을 맞이한다. 소위 ‘저세상’ 갈 뻔하다, 가까스로 도망쳐 나와 떨어진 곳은 ‘태어나기 전 세상’, 사전 세계다. 그곳에서 인간은 태어날 준비를 하며, 어떤 ‘성격’으로 태어날지 정해진다. <인사이드 아웃>이 사람 ‘감정’이 어떻게 생기는지 보여줬다면, <소울>은 사람의 ‘기질’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보여준다. ‘사전 세계’에 대한 경이로운 상상력, 꿈을 좇느라 지친 사람과 꿈이 없어서 서러운 사람을 모두 위로하는 포용력 외에도, 이 영화엔 깨알 같은 재미 요소가 등장한다. 바로 ‘한국어’다. 뉴욕의 거리에 있는 한국어 간판, 한국어로 투덜대는 목소리, 멘토로 지정된 한국인들의 이름 등. <소울>의 캐릭터 개발에 참여한 한국인 애니메이터 김재형씨 영향이 크다.

광고

코로나19로 힘든 시국이지만 영화관은 어떤 다중이용시설보다 방역지침을 철저히 준수한다. 인생이 무기력하다는 생각이 든다면 관람을 적극 추천한다.

정성은 콘텐츠 제작사 ‘비디오편의점’ 대표PD

관심분야 - 웃기고 슬픈 세상사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광고

4월2일부터 한겨레 로그인만 지원됩니다 기존에 작성하신 소셜 댓글 삭제 및 계정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라이브리로 연락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