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조선 건국의 기초를 닦은 삼봉 정도전(鄭道傳·영정)은 글도 수억 남겼고 매우 중요한 인물인데 쉽게 잡고 읽을 수 있는 책이 없을까? 사실 (三峰集)은 옛날에 번역돼 한국고전번역원 웹사이트에 실려 있다. 정도전만 그런 게 아니라 많은 문집이 이미 국역돼 있다. 문제는 읽는 사람이 없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손을 놓고 있어야 하는가? 그렇다. 지금까지 우린 손을 놓고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그럴 수 없다.
조선이 어떤 나라인가. 무려 500년을 버틴 왕조다. 중국에도 이런 탄탄한 왕조는 없었다. 그 조선의 정치적 기초를 세운 이가 정도전인데 우린 그를 별로 궁금해하지도 않는다. 신화화는 못할망정 이럴 수 있는가? 조상에게 죄짓는 기분도 들지 않는가? 원전이 읽혀야 저변이 생겨 그 흔한 평전 같은 것도 나와 더욱 드라마틱한 탐구가 일어나고, 그를 통해 조선 건국의 콘텍스트에 대한 이해도 깊어질 것 아닌가. 그런데 이 순환 노선의 중요한 변곡점에 있는 철로가 왕창 통으로 끊어져 열차가 더 이상 달릴 엄두도 못 내고 있다.
오늘 민통선 안에 있는 매운탕집에 가서 메기매운탕을 먹고 나와 북한 쪽 오성산을 바라보다가 또 갑자기 정도전 생각이 났다. 끊어진 우리의 정신적 38선을 다시 이어야 한다. 정도전의 글 중엔 국가의 제도나 궁궐 건물의 용도를 최초로 규정하는 기념비적인 문장이 많다. 전 왕조인 고려 불교의 논리를 철저하게 봉쇄하는 조선 유학의 논리를 (佛氏雜辨)이라는 문장의 성채로 방어해냈다. 왕(王)이라는 바지사장을 내세워 조선이라는 사업체를 운영하고자 한 ‘서생의 복심(腹心)’이 어떠한 문장과 논리로 표현돼 있는지 눈으로 확인하고 싶지 않은가?
지금은 카논(canon)화의 지적 노력이 필요할 때다. 도서관에 매장한 우리 고전을 다시 살려서 안방으로 모셔야 할 시점이다. 형해화돼 있는 옛글들에 새로운 질서와 체계를 부여해서 그것을 ‘정전’(正典)화해야 한다. 제자들이 묶어낸 가 오늘날 공자를 대변하듯이 정도전을 대변할 수 있는 도플갱어 같은 책을 후대들이 머리를 맞대고 수작업으로 ‘만들어내야’ 한다는 뜻이다. 단순한 ‘선집’(選集)이 아니라 ‘정전화 작업’이다. 정선(精選)이되 재탄생에 가까운 정선이어야 한다. 긴 글은 과감하게 쳐내고, 문장 깊숙이 숨겨진 본의는 문면에 뽑아올려 강조해야 한다. 제목이 없는 글에는 제목을 붙이고 문집의 목차와는 달리 기승전결이 있는 목차를 새로 짜야 한다. 그리고 책 제목을 붙인다. ‘국가를 상상하다’의 의미를 담은 ‘상국’(想國)이 그것이다. 그리고 그 ‘상국’이 정도전을 대변하도록 해야 한다.
어찌 삼봉만의 문제이겠는가. 퇴계도 마찬가지고 율곡도 마찬가지다. 다산 정약용은 아마 이런 카논화의 작업을 거치면 1천 쪽 짜리 책이 나올 것이다. 이 한 권만 읽으면 다산은 ‘다 뗐다’는 말이 나올 수 있게 글을 정선해내야 한다. 그렇게 한국 고전을 쌓아가야 한다. 중국 고전 옆에 당당하게.
강성민 글항아리 대표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이승환 구미 콘서트 취소 후폭풍…“김장호 시장은 사과하고 사퇴하라”
[단독] 입법조사처 ‘한덕수, 총리 직무로 탄핵하면 151명이 정족수’
윤석열 쪽 “엄연한 대통령인데, 밀폐 공간에서 수사 받으라니”
‘내란 비선’ 노상원 수첩에 정치인·언론인 ‘사살’ 표현 있었다
이승환 “‘정치 언행 않겠다’ 서약 거부, 구미 공연 취소 통보 진짜 이유”
윤상현, 트랙터 시위에 “몽둥이가 답”...전농 “망발”
12월 24일 한겨레 그림판
[속보] 헌재 “윤석열 통보서 받은 걸로 간주…27일 탄핵심판 개시”
계엄의 밤, 사라진 이장우 대전시장의 11시간…“집사람과 밤새워”
[단독] 윤석열, 3월 말 “조만간 계엄”…국방장관·국정원장·경호처장에 밝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