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운동에 빠져 있는 가까운 사람에게 물었다. “소중한 도구가 뭐야?” “음, 망치?” “아니, 직접 사용하는 것 중에서 말이야.” “나는 케틀벨(중량기구)이야. 그게 지금 내 힘 기르기에 최고야. 나를 단단하게 만드는 (손짓을 하며) 땅을 다지는 도구 같은 느낌?” “그래서 그게 좋아?” “좋지, 스트레스 해소도 되고.” “취미네, 한마디로.” “그렇지.” “노동은 아니고.” “힘이 있어야 뭐든 하니까. 내 아주 훌륭한 도구야.”
빵. 원한 건 이런 대답이 아니었는데. 돈키호테의 투구 같은 대답을 원하기라도 했던 걸까? 누구든 자기만의 특별한 사물이 하나 이상은 있다. 몇만원짜리 필기구보다 내가 1천원짜리 검은색 제도샤프를 아끼는 것처럼. 샤프심을 샤프에 끼울 때 망친 오전과 다른 오후가 올 거라는 느낌이 오는 것처럼 나는야 참으로 사물에 의지해 살고 있다. 누구에게나 자기 일과 관련된 사물이 있으리라 생각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지난해 여름 전시를 준비하던 중 나와 동료는 갑자기 드라이버가 필요해서 동네 철물점 사장님에게 급하게 빌렸다. 환한 얼굴로 드라이버를 빌려주었던 사장님은 우리가 약속 시간보다 늦게 드라이버를 돌려드리자 하늘이 내려앉을 듯 “이게 뭔 줄 알고 이렇게 안 돌려주는 거야?” 화를 냈다. 그가 소유한 물건을 향해서가 아니라, 그가 지켰어야 할 노동 시간과 태도에 금을 낸 것 같아 미안했다. 우리는 반성이란 이럴 때라면 틀림없이 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지난겨울 제주도에서 본 해녀들의 도구는 정말이지 예뻤다. 물속에 들어갈 때 쓰는 튜브 비슷한 도구일 거라 짐작했을 뿐 이름은 몰랐다. 서울로 돌아와 찾아보니 형형색색 바느질을 한 이 사물은 해녀들이 물에 뜨는 데 쓰는 도구로 이름은 ‘테왁 망사리’다. 스티로폼으로 된 둥근 형태는 테왁(부력 도구)이고 그 주변에 달린 그물을 망사리라고 한다. ‘테를 두른 박’이라는 뜻의 테박에서 ‘ㅂ’ 탈락 현상이 일어나 테왁이 된 것이라고 백과사전은 알려준다. 자기 이름 석 자를 매직으로 쓴 것부터 꽃무늬 천, 알싸한 느낌의 자둣빛 천 바느질까지 내가 본 테왁은 한 가지 모양이 없다. 1960년대 중반 이전까지도 테왁은 잘 여문 박을 따내 만들었단다. 둥근 박과 바닷물 잠수의 만남이라니 중국 설화의 한 장면 같다. 구멍을 뚫어 박씨를 빼내고 물기 닦아 도구를 만들던 습관은 지금까지도 해녀들이 예쁘게, 자기 식대로 사물을 빚어내게 하는 원동력이다.
언제나 타인의 사물을 기분 좋게 바라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판사들의 지휘봉이나, 어느 정치인이 포탄이라고 했던 보온병을 치워버리고 싶은 순간도 많다. 믿을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사건·사고에 사물들은 이름도 별 개성도 없이 동행한다. 여기에 디자인 운운하며 찬사를 보내고픈 마음은 없다. 다만 이른 새벽 숲길을 걷고 싶은 마음이 들 때의 심사로 주변에 있는 사물의 신비로움을 보고 싶다. 귀한 지면에 이어지는 ‘너의 의미 2’에서 난 좀더 명랑하게 아름답고 환하게 느껴지는 것들의 세계로 건너가보려 한다. 탁한 눈이 ‘안구 정화’되는 디자인 모험담을 쓰고 싶다. 생활에서 쪼금 먼 3만리까지 가야 할까?
독립 큐레이터
<font color="#C21A1A">*‘현시원의 너의 의미’ 연재를 마칩니다. 현시원씨는 883호에서 좀더 명랑해진 ‘너의 의미’ 시즌2로 다시 독자들을 만납니다.</font>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임은정 검사 “윤 반말하며 건들건들…검찰회의 하는 것 같아”
명태균, “김건희에 ‘청와대 가면 뒈진다’ 했다” [영상]
윤 지지율 17% 역대 최저치…‘김건희’ 부정평가 원인 1위 [갤럽]
참모들은 왜 윤 대통령 회견 말리지 않았나
제주서 침몰한 고등어잡이 배…구명조끼 대부분 안 입은 듯
목줄 매달고 발길질이 훈련?…동물학대 고발된 ‘어둠의 개통령’
“윤, 사실상 대통령 아냐…퇴진 기본값” 현직 장학사도 시국선언
군, 현무-Ⅱ 지대지 미사일 발사로 ‘북 미사일 발사’ 맞불
“대통령이 대북방송 막으면 멈출 텐데…최악 지지율에 방치하는 듯” [영상]
윤 담화 영향 덜 담긴 ‘지지율 17%’…대통령실 “변화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