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이 만난 세상]
▣ 겸/ 탈학교생 queer_kid@hanmail.net
‘길었던’ 4일간의 찰영이 오늘로 끝났다. 2년 전 시네마떼끄부산을 들락거리며 영화를 하겠다고 다짐한 이후 처음 ‘레디 액션’을 외치기까지 그다지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았다. 그리고 아직까지 왜 영화를 해야 할까라는 고민 또한 비슷한 지점에서 풀리지 않은 채 머무르고 있다. 요즘은 디지털의 등장으로 워낙 많은 10대들이 찍은 영화들이 쏟아지고 있긴 하지만, 나 같은 아이가 영화 같은 걸 만들어도 되는지, 곧잘 욕지기가 치밀었던 쓰레기 필름의 생산에 합류하는 것인지 확신할 수 없었다.
![](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300/341/imgdb/original/2004/0915/021112000120040915527_93.jpg)
더군다나 이번에 찍은 영화는 나 자신에 관한 영화여서 영화에 대한 평이 곧 나에 대한 평으로 이어질 것 같은 두려움에 몇달간이나 찍을까 말까 하는 고민만 하루에도 수십번씩 하고 아무런 진척이 보이지 않았다. 결국 찍기로 결심했지만 마감일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이 도래하고 구체적인 시나리오도 나오지 않은 채 개괄적인 스토리보드를 가지고 찰영에 들어갔다. 찰영 기간 내내 아침 일찍 일어나 당일 쓸 시나리오를 쓰고 현장을 둘러보고 마음 가는 이미지를 잡아 계획도 없이 마구잡이로 찍어댔다. 그래도 약간 믿었던 구석은 있었다. 김기덕 감독이나 홍상수 감독이 당일 현장에서 신을 구성한다는 얘기를 듣고 나 또한 그런 즉흥성을 믿고 있었던 것이다. 모든 건 내 머릿속에 이미 그려져 있다, 글로 설명할 필요는 없다, 이젠 그것을 찍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당연하게도 그 믿음은 너무도 얕았다. 고작 초보적인 다큐멘터리 수업 하나를 들어본 나로서 불을 켜고 끄는 방법도 모르는 조명을 다루는 일이나 처음 만져보는 종류의 카메라로 영화를 찍는다는 건 나나 함께 일한 스태프들에게 당혹스러운 일이었다. 결국 변덕스러운 연출자로 인해 스태프들의 고생만 더했다.
종종 영화를 찍을 때의 난 지금껏 느껴보지 못한 흥분, 즐거움, 충분함 따위를 경험해볼 수 있지 않을까 상상해왔다. 그러나 찰영에 들어가니 현장은 무언가를 느낄 만한 여유조차 없는 전장과 같다는 것을 깨달았다. 마치 단 한번의 쇼를 진행하는 기분으로 그동안 준비해온 것들을 어느 것 하나 놓치지 않기 위해 극도의 긴장 속에 카메라를 들고 퍼포먼스를 한다. 사람은 거짓말을 하지만, 카메라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내가 믿는 것은 오직 그뿐이었다. 화려한 기교도 멋들어진 연출도 없는 나의 첫 영화가 사람들에게 진실성 있게 다가설 수 있다면 그것으로 만족할 수 있다. 그래서 아무런 제재 없이 찍은 첫 영화라 거칠 것 없이 찍어댄 것 같다. 찰영은 끝났지만 아직 음향과 편집 작업이 남아 갈 길이 멀었다는 생각만 든다.
3일간의 찰영과 오늘 보충찰영을 마치고 장비를 반납하러 차에 탔다. 그리곤 외로웠던 나의 10대를 함께 지나온, 어둠 속에 갇혀 있던 나를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게 해준 영화와 감독들을 떠올려본다. 차이밍량, 구스, 데릭저먼, 페드로, 존, 사디. 고독했던 그들의 영화로 난 삶과 세상을 배웠다. 그리고 이젠 내가 나를, 숨쉴 수 없는 세상을 보여줄 차례다. 문득 이제껏 자신에게 던져왔던 의문을 다시 한번 되새긴다. 과연 영화가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한겨레 인기기사
“계엄날 윤석열한테 술 냄새…군사경찰이 분명히 맡았다고 해”
“김건희-명태균, 김상민 검사 공천 놓고 다툼…48분 통화했다”
고발당한 권성동…시민단체 “문형배 향한 인격 살인, 악마화”
[속보] 윤석열 탄핵심판 10차 변론 연기 없다…헌재, 20일 진행
[속보] 헌재 도착했던 윤석열, 변론 불출석…구치소 복귀
[속보] 검찰, 국방부 국회협력단 압수수색…‘내란 동조’ 의혹
NYT “설리, 구하라 이어 김새론…죽음으로 내모는 압박 직면”
명태균 “황금폰 때문에 검찰이 수사 조작” 주장하다 법정서 쫓겨나
이명박 찾아간 권성동…“국힘 지도부 정신상태 의심스럽다”
경찰, 이상민 자택 압수수색…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의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