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21세기판 아편전쟁

등록 2007-07-20 00:00 수정 2020-05-03 04:25

아프간과 이라크 상황에 19세기 ‘더러운 전쟁’의 주역 영국의 아편상인들이 겹쳐지네

▣ 김재명 국제분쟁 전문기자·정치학 박사kimsphoto@hanmail.net

“아니, 자유무역을 왜 못하게 막는 거야?”

신자유주의 깃발 아래 글로벌 경제체제를 이룩한답시고 미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의 무역개방 요구가 드센 21세기에 나온 얘기가 아니다. 지금부터 170년 전, 강력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세계를 쥐락펴락하던 ‘19세기의 패권국가’ 영국의 상인들이 중국(청나라) 관리들에게 던진 시비조의 물음이다.

영국 상인의 놀라운 ‘재테크’

자유무역이란 허울 좋은 이름 아래 영국 상인들은 중국을 거대한 아편 중독국으로 만들었다. 많은 중국인들이 아편 중독으로 몸을 망치고 집을 잃었다. 무기 거래업자들을 흔히 ‘죽음의 상인’이라 일컫지만, 아편 무역업자들 또한 죽음의 상인들이었다. 뇌물을 받고 아편 밀반입을 눈감아준 중국 세관 관리들과 돈벌이에 눈이 먼 중국 아편 유통업자들은 죽음의 하수인들이었다.

지금 돌이켜봐도 영국 상인들의 ‘재테크’는 놀라울 정도다. 인도에서 헐값에 사들인 아편의 판매대금으로 중국의 은을 챙기거나 중국 차를 사모아선 유럽으로 내다팔아 몇십 배의 부가가치를 만들어냈다. 이걸 가리켜 ‘삼각무역’이라고 하는가. 빅토리아 여왕이 통치하던 영국은 아편 무역에 불법 딱지를 붙였으나, 그것은 겉치레에 그쳤다. 전세계 곳곳에서 약탈무역을 하던 영국 자본가들의 이익이 곧 영국의 국가이익으로 여겨지던 시절이었다. 그때 그들이 내세운 경제 이데올로기가 바로 ‘자유무역론’이었다.

1839년 6월, 무려 21일 동안 중국 광둥성의 후먼(虎門) 바닷가에서는 희뿌연 연기가 피어올랐다. 압수한 아편들을 폐기하는 역사의 현장이었다. 동그란 대포알처럼 생긴 검은 아편 덩어리들을 칼로 자르고 잘게 부수어 물에 빠뜨리면, 거품과 함께 연기가 생겨났다. 기록에 따르면, 폐기된 아편은 2만 상자를 넘었다고 한다.

아편 폐기의 주역은 강직한 성품의 청나라 흠차대신 임칙서(林則徐). 그는 “아편을 없애지 못하면 중국이 망한다”며 도광(道光) 황제를 설득한 뒤 광둥으로 내려갔다. 영국 상인들의 아편을 압수하고, 밀거래로 떼돈을 벌던 중국 상인들을 붙잡아 다른 곳도 아닌 영국 공관 앞에서 목매달아 죽였다. 1996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을 장악한 탈레반 정권이 아편 재배를 엄격히 금지하고 밀매업자들을 공개 처형했던 사실을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결과는 참담한 패배로 막을 내렸다. 목선을 타고 구식 총으로 무장한 중국군은 영국군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증기기관으로 움직이는 철선에다 강력한 대포를 갖춘 영국군은 19세기의 ‘슈퍼 파워’였다.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무자헤딘 전사들처럼 중국군은 서양 오랑캐의 침공에 맞서 죽음으로써 나라를 지키겠다는 기개만큼은 높았으나, 기개만 갖고 될 일은 아니었다. 연전연패 끝에 1842년 난징조약으로 홍콩을 내주고 상하이를 비롯한 5개 항구를 개방해야 했다.

난징조약은 서구 제국주의가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강요한 불평등 조약들을 말할 때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그 뒤로 영국의 아편 상인들은 거침없이 중국인들의 몸과 마음을 병들게 만들었다. 미국을 도와 탈레반 정권을 무너뜨린 지방군벌들이 전세계 공급량의 90%를 차지하는 아프가니스탄 아편 재배로 큰 돈을 벌고 그것으로 세력 확대에 나서는 것과 마찬가지다.

중국이 홍콩을 돌려받은 1997년, 중국 영화 사상 최대의 제작비인 1500만달러를 들여 만든 영화가 (감독 셰진)이다. 영국 빅토리아 여왕과 측근 신하들이 영화 속에서 주고받은 말들은 자유무역 깃발을 내세웠던 더러운 전쟁(dirty war)의 경제적 본질을 드러낸다.

빅토리아 여왕, “임칙서는 어떤 인물이오?”

신하, “의지가 강하고 거칠며 애국심이 강한데, 극단적(extreme)인 성향이라 합니다.”(21세기 들어 미국 부시 대통령과 영국 토니 블레어 전 총리는 전세계 반미·반영 저항세력을 ‘테러리스트’ 혹은 ‘극단주의자’라 불러왔다.)

빅토리아 여왕, “내가 임칙서라 해도 아편을 압수해 없앴을 것이오. 문제는 아편이 아니지. 영국 상인들의 생명이나 재산도 아니고…. 만일 다른 나라에서도 중국처럼 자유무역을 거절한다면, 대영제국은 1년도 못 가고 말 거요. 이게 바로 중국으로 군대를 보내는 이유지. 중국에 자유무역이 뭔지를 (전쟁을 통해) 가르쳐줘야겠어. 다른 나라에 중국을 빼앗기고 싶지 않아.”

“문제는 아편이 아니라 자유무역이지”

19세기 패권국가 영국으로선 아프리카, 인도와 더불어 ‘황금알을 낳는 거위’인 중국이라는 또 다른 거대시장을 놓칠 수는 없었을 것이다. 역사는 되풀이된다던가. 19세기 서구 자본주의 경제의 대외 팽창과 그에 따른 위기 상황이 21세기 아시아에서 벌어지고 있다. 아프간과 이라크에선 군사력으로, 한국에선 자유무역협정(FTA)이라는 이름으로지만, 그 공통의 이데올로기는 신자유주의다. 아편전쟁이 ‘19세기의 더러운 전쟁’으로 기록된다면, 21세기 미국의 이라크 침공은 어떻게 기록될까. 부시 대통령이 주장했듯 사담 후세인 독재에 신음하던 이라크 민초들을 해방시킨 ‘정의의 전쟁’일까, 아니면 아편 대신 세계 제3위의 매장량을 지닌 이라크 석유를 노린 ‘더러운 전쟁’일까. 대답은 쉽지만, 그 뒤 해법이 간단치 않다는 게 문제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