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구로구 영서초등학교 6학년생 친구들(왼쪽부터 홍준영·이예준·이두나·김지민·손지아). 박승화 선임기자 eyeshoot@hani.co.kr
“초등학교 5학년 때였어요. 저희 세대만 해도 아이들이 ‘쟤네 엄마 아빠 이혼했대’라며 놀리곤 했거든요. 하루는 아이들이 저를 계속 놀리니까 선생님이 저를 두둔하는 얘기를 해주신 거예요. 놀리는 게 얼마나 나쁜 행동인지 설명하면서 ‘이혼은 절대 네 잘못이 아니다’라고 얘기해주셨어요. 그날이 뭐랄까… 저한테 굉장히 해방감을 준 날이었어요.”
어린 시절 부모님의 이혼, 부모님의 서로에 대한 험담(부모따돌림·한 부모가 자녀에게 다른 부모와의 관계를 끊게 할 목적으로 계속하는 행동)으로 고통받았던 윤은미(46·가명)씨가 <한겨레21>과의 인터뷰에서 한 말이었습니다. 기사에 이 내용은 담지 못했지만 개인적으로 크게 마음에 남은 말이었습니다. 절망적 상황에 빠진 아이에게 어른의 따뜻한 말 한마디가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 보여주는 사례 같아서였습니다.
반대 상황도 있을 것입니다. 어른이 아이에게 무심코 하는 말 가운데, 깊은 상처를 주는 말도 많습니다. <한겨레21>은 1461호 표지 기사로 ‘어린이날 기획’을 준비하면서 초등학교 6학년 아이들에게 ‘어른들이 한 말 중에 어떤 말이 듣기 싫었는지’ 물었습니다. 어른들은 역시나 ‘악의 없이’ 상처가 될 만한 말을 많이 했더군요. ‘너무 말랐다’, ‘까맣다’ 같은 외모 평가부터 ‘넌 왜 이런 문제도 못 푸니’, ‘쟤는 영어 시험 잘 치는데 너는 왜 이 점수니’ 같은 비교하는 말들도 있었습니다.
저도 7살·4살 두 딸을 키우면서 비로소 어른이 얼마나 아이에게 무심코 상처가 될 만한 얘길 많이 하는지 알게 됐습니다. 길 가던 할머니들은 아이들을 보고 사랑스러운 미소를 지으시면서 “어휴, 너 남동생 없어 다행이다. 남자가 있었으면 넌 찬밥 신세였을 텐데” 같은 말을 했고, 지나가던 어른이 검은색 운동화를 구경하던 딸에게 “여자애가 왜 그런 운동화를 봐”라고 핀잔을 주기도 했습니다. KTX에서 혼자 앉지도 못할 정도로 작은 아기가 자다 깨 “응애” 하고 울음을 터뜨리자마자, “아×× 시끄러워” 하고 욕설을 내뱉는 어른을 보며 깜짝 놀라기도 했습니다.
왜 이렇게 어른은 아이에게 함부로 말을 할까요. 여전히 우리 사회에선 어린이를 ‘하나의 인격체’로 대우하기보다 ‘어른의 미완성 상태’로 보고 말을 편하게 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KTX에서 건장한 어른이 옆 사람에게 첫마디를 꺼내자마자 욕설하는 경우를 본 적이 있으십니까? 지나가던 성인에게 ‘왜 이렇게 말랐어요? 왜 이렇게 까매요?’ 같은 무례한 질문을 하는 사람을 본 적이 있나요.
여러분은 어린 시절 어른에게 들은 말 중 어떤 말이 기억에 남나요. 우리도 혹시 너무 편하게, 너무 함부로, 어린이에게 말을 걸고 있진 않나요.
손고운 기자 songon11@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나무 꺾다 라이터로 태우려…” 의성 산불 최초 발화 의심 50대 입건
윤석열 탄핵심판 4월18일 넘기는 ‘최악 경우의수’ 우려까지
산 정상에 기름을 통째로…경찰, 화성 태행산 용의자 추적
한덕수 ‘마은혁 임명’ 굳게 닫힌 입…윤 복귀 위한 ‘위헌 버티기’ 비판
문재인 전 대통령 “계엄내란 광기의 원형, 제주 4·3서 찾을 수 있어”
산청 산불 213시간 34분 만에 주불 잡혀…역대 두번째 ‘긴 산불’
정부 10조원 추경 추진…여 “동의”, 야 “효과 의문”
이재명, 풍자 그림 올리며 “조작인가, 아닌가”…국힘 비판 반박
[속보] 최상목 “10조원 필수 추경 추진…여야 동의해 달라”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