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 이후 시민들의 모습. 연합뉴스
2023년 1월30일부터 감염취약시설을 제외한 실내에선 마스크 착용이 의무사항이 아니게 됐다. 실내 마스크 의무착용이 2년3개월 만에 해제된 셈이다. 다만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요양병원·의료기관·약국 등 감염취약시설에서는 여전히 마스크를 반드시 써야 한다. 공식적으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됐으나, 학교와 학원 등에서는 여전히 집단감염을 걱정해 학생들에게 마스크를 쓰도록 하는 곳이 많다.
마스크 의무착용 해제 이후 업계의 희비는 엇갈렸다. 화장품 업계는 색조 화장품 판촉행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백화점, 홈쇼핑 등 유통업체도 구매금액에 따라 포인트를 쌓아주거나 상품권을 주는 등 색조 화장품 판매 마케팅에 나섰다. 반면 마스크 업계는 망할 위기에 처했다며 정부에 대책을 요구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통계를 보면,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직전인 2020년 1월 137개였던 마스크 제조업체는 2022년 3월 기준 1683개로 12배가량 늘었다. 마스크 제조업체 상당수는 영세업체다. 이미 문을 닫았거나 도산 위기에 놓인 업체도 많다고 한다. 현재 제품을 실제 생산하는 업체는 480여 곳이다.
마스크 수요는 급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코로나19가 한창 유행하던 시기에 장당 3천원 안팎이던 KF94 마스크는 최근에는 150원대에도 판매된다. 마스크 제조업체 가운데 일부 중견기업은 마스크 필터 기술력을 바탕으로 공기청정기, 진공청소기, 자동차 에어컨에 들어가는 에어 필터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광고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탄핵심판 안 나온다는 윤석열…파면돼도 관저서 며칠 더 버티기?
한국에 상호관세 26%…트럼프, 무역질서를 파괴하다
‘원피스’ 감독 “지브리를 더럽히다니, 챗GPT 용서하지 않겠다”
“나경원·전한길 유세 마이너스”…‘재보선 참패’ 국힘 내부서 쓴소리
4월 4일 한겨레 그림판
대법, ‘도이치 주가조작’ 유죄 확정…김건희 재수사로 이어질까
펭귄도 ‘깜짝’ 놀란 트럼프 관세…사람 없는 남극 섬에도 부과
“불체자 추방” 전광훈당, 구로서 32% 득표…극우 급부상 경고
상호관세로 한·미FTA 무력화…쌀·소고기 줄줄이 공격 예고
윤석열 선고 전야, 마지막 광장의 염원…“전원일치 파면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