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49일 만에 귀 기울인 그 ‘호소’ [뉴스 큐레이터]

등록 2022-12-24 01:59 수정 2022-12-24 09:16
국회이태원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소속 위원들이 2022년 12월 21일 이태원 참사 현장을 찾아 설명을 듣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국회이태원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소속 위원들이 2022년 12월 21일 이태원 참사 현장을 찾아 설명을 듣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계속 밀려 올라오니까 압사당할 것 같아요. 지금 아무도 통제를 안 해요.” 2022년 12월16일 오후 6시34분. 정확히 49일 전의 목소리가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서 다시 울려퍼졌다. 10월29일의 호소에 관심 가진 사람은 없었지만, 49일 뒤의 목소리는 이태원 참사 유족들과 시민, 정치인, 현장 통제를 위해 나온 경찰까지 한데 모여 들었다.

이날 오후 6시부터 이태원역 앞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희생자 사십구재 추모문화제 행사엔 한파에도 시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았다. 수백 명이 3시간 넘게 자리를 지키며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었다. 무대에 설치된 화면에선 희생자 한명 한명의 사진과 이름이 나왔다. 유족들과 시민들은 목청껏 희생자들의 이름을 불렀다. 유가족협의회는 성역 없이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국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조특위)는 45일로 정한 조사 기간 절반이 넘을 때까지 첫발도 내딛지 못했다. 여야가 처음부터 예산안 처리를 전제로 국정조사를 합의한 탓이다.

고 최유진씨 아버지 최정주씨는 12월1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참사의 현장과 기억, 증거들이 더 이상 사라지지 않도록 국정조사가 정상화되길 촉구한다”고 말했다. 12월20일에야 국민의힘은 유가족협의회를 만났다. 유족들은 “희생자들이 협상의 도구인가”라며 국민의힘 의원들의 국조특위 복귀를 요청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해임건의안을 국회 본회의에서 단독 처리한 데 항의하며 사퇴 의사를 밝혔던 국민의힘 소속 국조특위 위원들은 간담회 뒤 국조특위에 복귀했다.

여야가 모두 참여한 국조특위는 12월21일 처음으로 현장 조사에 나섰다. 11월24일 국정조사 계획서가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지 27일 만이다. 이들은 시민분향소와 사고가 발생한 골목을 찾은 뒤 이태원파출소와 서울경찰청, 서울시 등을 상대로 현장 조사를 진행했다. 국정조사 기간은 2023년 1월7일까지다.

류석우 기자 raintin@hani.co.kr

*뉴스 큐레이터: <한겨레21> 기자들이 이주의 놓치지 않았으면 하는 뉴스를 추천합니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4월3일부터 한겨레 로그인만 지원됩니다 기존에 작성하신 소셜 댓글 삭제 및 계정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라이브리로 연락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