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이태원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소속 위원들이 2022년 12월 21일 이태원 참사 현장을 찾아 설명을 듣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계속 밀려 올라오니까 압사당할 것 같아요. 지금 아무도 통제를 안 해요.” 2022년 12월16일 오후 6시34분. 정확히 49일 전의 목소리가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서 다시 울려퍼졌다. 10월29일의 호소에 관심 가진 사람은 없었지만, 49일 뒤의 목소리는 이태원 참사 유족들과 시민, 정치인, 현장 통제를 위해 나온 경찰까지 한데 모여 들었다.
이날 오후 6시부터 이태원역 앞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희생자 사십구재 추모문화제 행사엔 한파에도 시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았다. 수백 명이 3시간 넘게 자리를 지키며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었다. 무대에 설치된 화면에선 희생자 한명 한명의 사진과 이름이 나왔다. 유족들과 시민들은 목청껏 희생자들의 이름을 불렀다. 유가족협의회는 성역 없이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국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조특위)는 45일로 정한 조사 기간 절반이 넘을 때까지 첫발도 내딛지 못했다. 여야가 처음부터 예산안 처리를 전제로 국정조사를 합의한 탓이다.
고 최유진씨 아버지 최정주씨는 12월1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참사의 현장과 기억, 증거들이 더 이상 사라지지 않도록 국정조사가 정상화되길 촉구한다”고 말했다. 12월20일에야 국민의힘은 유가족협의회를 만났다. 유족들은 “희생자들이 협상의 도구인가”라며 국민의힘 의원들의 국조특위 복귀를 요청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해임건의안을 국회 본회의에서 단독 처리한 데 항의하며 사퇴 의사를 밝혔던 국민의힘 소속 국조특위 위원들은 간담회 뒤 국조특위에 복귀했다.
여야가 모두 참여한 국조특위는 12월21일 처음으로 현장 조사에 나섰다. 11월24일 국정조사 계획서가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지 27일 만이다. 이들은 시민분향소와 사고가 발생한 골목을 찾은 뒤 이태원파출소와 서울경찰청, 서울시 등을 상대로 현장 조사를 진행했다. 국정조사 기간은 2023년 1월7일까지다.
류석우 기자 raintin@hani.co.kr
*뉴스 큐레이터: <한겨레21> 기자들이 이주의 놓치지 않았으면 하는 뉴스를 추천합니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윤석열, 나랏돈으로 캣타워 500만원에 ‘히노키 욕조’ 2천만원
윤석열 대답 떠먹여준 지귀연…직업 대독하자 윤 ‘고개만 끄덕’
[영상] 윤석열, 헌재 판단도 깡그리 부정하며 93분 ‘궤변 퍼레이드’
“마지막 소명” 언급한 한덕수…전략적 모호성 유지하며 출마 저울질
‘윤석열 재판’ 증인 출석 특전대대장 “의원 끄집어내라 지시 있었다”
한덕수 “나와 통화 뒤 관세 유예” 자화자찬…‘알래스카 LNG’ 급발진
기억하세요, 희망은 좋은 것입니다 [그림판]
트럼프 즉흥적 관세 정책에 탈미국화…“구조적 신뢰 하락”
동작 그만, 캣타워 빼가기냐? [그림판]
‘한덕수 차출론’에 들끓는 국힘 주자들…민주 “윤석열 들러리로 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