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혜림 제공
독자 유혜림(32)씨는 10년 넘게 을 보고 있다. 서점과 편의점 등에서 사서 보다가 5년 전부터 정기구독을 했다. “잘 보이지 않는 이들의 목소리를” 담은 을 “멀리서 당당히 응원하고 있다”고 한다. 그는 20대 초반에 처음 만난 이 “함께 인생을 나누는 매체”라고 했다.
을 받으면 어떤 면부터 보나.
‘노 땡큐!’가 있는 맨 뒤에서 앞쪽으로 가며 본다.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고, 그렇게 보는 게 편하다.
가장 기억에 남는 기사는.
쪽방촌 이야기(1년 추적연재 ‘가난의 경로’), 셰어하우스 체류기(제1180호 표지이야기) 기사가 기억에 남는다. 트랜스젠더, 미혼모, 양심적 병역거부 등을 다룬 기사도 관심 있게 봤다. 내가 이 기사들을 꼽은 건 소수자들의 삶을 잘 담아내 마음에 와닿았기 때문일 것이다.
소수자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나 역시 소수자라고 생각한다. 주류의 삶을 살지 않았다. 페미니즘, 퀴어 등의 주제에 관심이 많다.
표지이야기, 독자와 함께, 레드기획 등의 고정 지면에서 챙겨 보는 것은.
책 소개 지면이다. 단신으로 나온 책 중에서 직접 사본 것도 있다. 짧은 소개지만 그 글을 보고 마음이 움직일 때가 있다.
앞으로 기사로 다뤘으면 하는 주제는.
시각예술 쪽 일을 한다. 내 분야 이야기이기도 한데, 문화예술계 노동문제를 다뤘으면 좋겠다.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나도 내가 일한 만큼 대가를 받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에 하고 싶은 말은.
늘 성찰하는 잡지가 되었으면 좋겠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성찰의 자세가 필요한 것처럼. 잘 살아남았으면 좋겠다. (웃음) 잘 보이지 않는 사람들, 잘 들리지 않는 목소리를 전해주길 바란다. 정치, 경제 등의 분야는 잘 읽힐 수 있도록 재미있고 쉽게 써주기를 부탁한다. 기사를 읽으면서 어렵다고 느낄 때가 있었다. 문화 쪽에서는 영화, 음악 위주로 다루는 것 같다. 다양한 예술 분야를 담았으면 한다. 그리고 제안하고 싶은 게 있다.
무엇을 제안하고 싶은가.
기자나 전문가들의 글 말고 일반 사람들이 쓰는 글을 보고 싶다. 독자들의 글도 있으면 좋을 것 같다. 비록 정돈되지 않은 글일지라도 여러 관점을 갖고 세상을 살아가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것 같다. 그들의 글에서 놀라운 발견을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허윤희 기자 yhher@hani.co.kr이 기존 구독제를 넘어 후원제를 시작합니다. 은 1994년 창간 이래 25년 동안 성역 없는 이슈 파이팅, 독보적인 심층 보도로 퀄리티 저널리즘의 역사를 쌓아왔습니다. 현실이 아니라 진실에 영합하는 언론이 존속하기 위해서는 투명하면서 정의롭고 독립적인 수익이 필요합니다. 그게 바로 의 가치를 아는 여러분의 조건 없는 직접 후원입니다. 정의와 진실을 지지하는 방법, 의 미래에 투자해주세요.
*아래 '후원 하기' 링크를 누르시면 후원 방법과 절차를 알 수 있습니다.
후원 하기 ▶ http://naver.me/xKGU4rkW
문의 한겨레 출판마케팅부 02-710-0543
전화신청▶ 1566-9595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달 그림자” 윤 궤변에…국힘서도 “손바닥에 ‘왕’ 써도 하늘 못 가려”
[단독] ‘체포 시도’ 여인형 메모에 ‘디올백 최재영’ 있었다
중국의 보복관세는 왜 하필 석유·석탄일까
국내 첫 ‘철도 위 콤팩트시티’…남양주 다산 새도시에 건설
특전사, 내란 9개월 전 ‘국회 헬기 착륙 장소’ 점검했다
[단독] 대답하라고 ‘악쓴’ 윤석열…“총 쏴서라도 끌어낼 수 있나? 어? 어?”
2월 6일 한겨레 그림판
‘부정선거 주장’ 황교안 전 총리, 윤석열 변호인단 합류
15억 인조잔디 5분 만에 쑥대밭 만든 드리프트…돈은 준비됐겠지
“급한 일 해결” 이진숙, 방송장악 재개?…MBC 등 재허가 앞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