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에 갔을 때 일이다. 차량 공유 서비스인 우버를 잡았다. 방글라데시 출신 대학생 운전사와 수다를 떨었다. 대화에 정신이 팔렸던지 청년은 길을 잘못 들었다. 유엔본부를 가는데 걱정했던 대로 요금이 예상보다 두 배 더 나왔다. 청년은 미안하다는 말을 연신 했다. 집으로 돌아와 우버에 항의했더니, 초과 요금을 돌려줬다. 모든 게 간편하게, 그것도 깔끔하게 처리됐다.
몇 년 전 미국에 잠시 머물 동안 택시는 거의 타지 않았다. 필요할 때마다 휴대전화 앱으로 우버를 이용했다. 팁을 주지 않아도 되는데다 요금도 쌌다. 운전자의 이름과 얼굴, 차종도 알 수 있었고 운행 기록도 남았다. 말로 목적지를 설명할 필요도 없었으니 영어를 못하는 나에겐 그야말로 딱이었다. 이 편리하고 안전한 서비스가 한국에서는 밀려났다. 택시 업계의 생존권을 위협한다는 이유였다.
19년째 택시 단골이다. 거짓말을 보태면 택시 요금으로 집 한 채를 살 정도로 많이 타고 다녔다. 일이 늦게 끝날 때가 많은데다 짧은 시간에 취재 현장에 도착해야 하는 직업 탓이 컸다. 이 글을 쓰고 나서 새벽 2시께 또 택시를 탄다. 2주 전, 그 시각 처음으로 카카오택시를 탔다. 언제 올지 모를 택시를 기다리며 추위에 떨지 않아 좋았고, 목적지를 굳이 말하지 않아 좋았다. 한마디로 편리했다. 콜택시 업체들이 얼마나 살아남았는지 잠시 궁금하기도 했으나, 앞으로 더 자주 카카오택시를 이용할 것 같은 예감이 들었다.
광고
“좀 천천히 가주세요” “시내로 해서 가주세요.” 택시를 타자마자 버릇처럼 뱉는 말이다. 늦은 시각, 강변북로와 동부간선도로를 130㎞로 내달리는 택시를 타면서 ‘제발 무사히 집에 도착할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하는 상황이 싫어서다. 날아다니는 택시에서는 불편해서 피곤한데도 잠조차 잘 수 없다. 기어이 지난주 탄 택시의 운전사 T씨가 불평을 쏟아냈다. “강변북로로 갔으면 이 시간에 벌써 도착했을 텐데….”
그의 불평은 뜬금없이 정부에 대한 성토로 옮겨갔다. 카카오가 카풀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길을 터줘 택시 업계가 말라 죽겠다면서 육두문자를 썼다. 그리고 장시간 노동에 얇은 지갑, 택시의 과잉, 사납금 등 귀에 익은 하소연을 이어갔다. 그런데도 승차 거부, 난폭 운전, 불친절 등을 이유로 불만이 쌓일 대로 쌓인 시민들이 자신의 편이 아니란 걸 알았다.
영업용 택시를 운전하는 그는 정부와 카카오를 욕하면서도, 카카오가 카풀 서비스를 본격화하면 경쟁력 없는 택시를 접고서 카풀 기사로 등록해 돈을 벌 생각이란다. 많은 이들이 자신과 비슷한 계획을 품고 있다고 전했다. 먹고사는 현실 앞에서 자기모순은 그리 중요하지 않아 보였다.
T씨는 얼마 전 기사식당에서 만난 어느 고령의 개인택시 운전사의 말을 전했다. “카카오 본사를 찾아가 확 불 질러버리고 나도 죽어버릴 거야. 살 만큼 살았으니.” 그다음날 다른 택시 운전사가 여의도에서 자신의 몸에 불을 질러 숨졌다는 소식을 듣고선 섬뜩했단다. 앞으로 몇 사람 더 죽어나갈 것 같단 느낌이 들었다고 했다. 한 달 만인 1월10일 택시 운전사가 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T씨의 불길한 예감은 점차 현실이 되어간다.
광고
하지만 아직도 여론은 카풀 편이다. 편리성 때문이다. 카풀로 가는 건 막을 수 없는 대세처럼 보인다.
그래도 그 편리성을 이유로 많은 사람이 생계를 뺏긴다면, 편리성은 재고되고 때론 양보되거나 유보되어야 한다. 공유경제, 혁신, 소비자 편의 등 화려하고 미래지향적인 가치들이 심지어 생명을 뺏는다면, 가치의 자기모순일 뿐이다. 죽음의 행렬은 멈추게 해야 한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헌재, 5 대 3 선고 못 하는 이유…‘이진숙 판례’에 적시
마은혁 불임명 ‘위헌’ 판단한 헌재…‘8대 0’ 외 다른 길 있나?
‘헌재 비난’ 안창호 “탄핵 선고 존중” 돌변에…“사과부터 하라” 비판
김은숙 “다음주 월요일 헌재는 괜찮냐고, ‘시그널’ 무전기로 물어보고파”
“마은혁 불임명 직무유기”…비상행동, 한덕수 공수처 고발
“8대 0으로 파면하라!”…시민들, 헌재 향한 ‘집중 투쟁’ 돌입
오세훈 부인 강의실 들어갔다가 기소…‘더탐사’ 전 대표 무죄 확정
이복현 사의 표명…“윤 대통령은 상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않았을 것”
[단독] 이진숙 ‘4억 예금’ 재산신고 또 누락…“도덕성 문제”
윤석열 변론 종결 38일 만에 마침표…법조계 ‘탄핵 인용’에 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