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퀴즈큰잔치 소개
■ 첫 번째 고개- 정훈이 만화퀴즈
■ 두 번째 고개- 독자·기자 공동출제 퀴즈
■ 세 번째 고개- 10×10 낱말 맞추기
■ 네 번째 고개- 청년 퀴즈
1. 현재 한국의 20대 청년 가운데 ‘사회 밖 청년’ 인구는 얼마나 될까요? 다음 가운데 가장 근접한 숫자를 고르세요. (제1075호 표지이야기 ‘2015년 청년의 삶’ 참조)
① 300만명 ② 500만명 ③ 700만명 ④ 900만명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자료를 보면, 연령대별 빈곤율에서 청년은 노인만큼 가난합니다. 60~64살의 빈곤율이 20.3%로 가장 높은데, 18~24살의 빈곤율이 그다음으로 높습니다. 이 연령대의 빈곤율은 얼마일까요? (제1075호 표지이야기 ‘2015년 청년의 삶’ 참조)
① 19.7% ② 15.7% ③ 13.4% ④ 11.9%
3. 한국 정치에서 청년층은 ‘과소 대표’되고 있습니다. 19대 총선(2012년) 당시 당선된 국회의원 300명 가운데 40살 미만은 모두 몇 명이었을까요? (제1076호 표지이야기 ‘막힌 정치, 청년이 필요해’ 참조)
① 3명 ② 9명 ③ 20명 ④ 26명
4. 청년의 어려운 현실을 고발하는 청년 음악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시즌7에 등장한 밴드는 라는 노래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아기를 낳고 싶다니, 그 무슨 말이 그러니… 나는 고졸이고 너는 지방대야. 계산을 좀 해봐. 너랑 나 지금 먹고살기도 힘들어….” 이 밴드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제1077호 레드 기획 ‘헬조선의 청년들이 떴다’ 참조)
① 쇼미더머니 ② 블랙넛 ③ 중식이밴드 ④ 장미여관
5. 한국 청년들이 단기계약직(아르바이트)으로 일하는 업종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편의점 아르바이트입니다. 2014년 기준으로 전국에 2만6천여 개의 편의점이 있습니다. 이들 편의점에서 청년 알바생의 계산대를 거쳐 가장 많이 판매되는 품목은 무엇일까요? (제1077호 사회 ‘외롭고 바쁜 가게, 편의점으로 갔다’ 참조)
① 담배 ② 카스 1.6리터 ③ 참이슬 ④ 바나나맛 우유
6. 음악을 좋아하는 청년이 많습니다. 음악인으로 평생을 살아가려는 청년도 많습니다. 그러나 국내 음악계에선 이들의 창작 활동에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지 않는 일이 많습니다. 이에 대응하고자 음악인들이 모여 만든 음악인 노동조합이 있습니다. 최근 창립 2주년을 맞았습니다. 그 이름은 무엇일까요? (제1078호 레드 기획 ‘온전한 노동자, 음악인’ 참조)
① 뮤지션 유니온 ② MWU(뮤지션 워커스 유니온) ③ 여섯 개의 달 ④ 한국 음악인 노조
7. 장하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지난 9월8일 새정치연합 전·현직 지도부와 다른 의원들에게 어느 법안을 처음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청년의 경제적 권리와 인간다운 삶을 누릴 권리를 보장하는 내용의 법안이었습니다. 아직 가칭으로 부르고 있지만, 그 법안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제1079호 특집2 ‘진짜 청년정책의 시작’ 참조)
① 청년복지법 ② 청년경제기본법 ③ 청년평등기본법 ④ 청년법
*진짜 문제는 지금부터 나갑니다. 정답 중 한 번도 나오지 않은 번호는 몇 번일까요?출제 안수찬 편집장 ahn@hani.co.kr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캐나다서 여객기 뒤집힌 채 착륙…탑승 80명 중 최소 15명 부상
명태균 수사 중앙지검 이송…윤석열 부부 공천개입 의혹 초점
[단독] 윤석열 ‘빨간날’ 변호인 접견, 조주빈 일당 이후 처음
명태균 “황금폰 때문에 검찰이 수사 조작” 주장하다 법정서 쫓겨나
“50%가 헌재 신뢰 신기해”…권영세 내란부정·헌재 흔들기
6.8% 대상 ‘부자감세’ 비판에도…이재명 연일 상속세 완화 주장
당신의 이중잣대는 흉기 [그림판]
개강했지만 의대생 없는 의대…휴학생도 “막막하다”
인격살인 악플, 처형대 된 언론…김새론을 누가 죽음으로 몰았나
삼성전자 “자사주 3조 소각·3조 추가 매입” 공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