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독도 동도에서 바라본 천장굴 상부와 서도 탕건봉. 독도 밤하늘에 많은 별이 수놓여 있다.
2023년 7 월 18 일 독도를 찾았다 . 독도박물관과 제주해녀박물관이 공동 기획한 ‘제주해녀 , 대한민국 독도를 지켜내다 ’ 전시에 필요한 사진을 찍기 위해서다. 사진가로 참여해 2 박 3 일간 촬영한 이 작업은 독도의용수비대와 함께 독도에서 생활하며 어업활동을 했던 해녀들의 흔적을 좇는 것으로 , 독도 주민생활사 측면에서 바라본 장소를 찾아 사진으로 기록하는 일이었다 .
제주해녀박물관과 해녀들의 구술에 따르면 제주해녀들의 독도 물질은 일제강점기인 1940 년대부터 시작해 1970 년대까지 이어진다 . 특히 1950 년대 초에는 독도어장 미역 채취권을 가지게 된 독도의용수비대의 고용으로 매년 제주해녀 수십 명이 출향 ( 出鄕 ) 해 독도 ‘물골 ’ 에 둥지를 틀었다 . 유일한 식수원이 있는 물골에서 짧게는 한 달 , 길게는 서너 달을 살며 미역을 채취했다. 해녀의 물질은 독도의용수비대가 주둔하는 데 경제적으로 큰 도움이 됐다 . 해녀들은 의용수비대의 막사 공사와 부식·식수 전달 등을 도우며 상생적 관계로서 독도 영유권 강화에 기여했다 . 독도를 지키며 동해의 푸른 바다에 몸을 던져 물질하던 해녀를 이제는 볼 수 없다 .
원래 독도의 본주인이던 강치(바다사자)는 일본 식민지 시절 멸종되었다고 한다. 독도를 ‘다케시마’라 부르고 동해를 ‘일본해’라 쓰는 일본이 바다에 오염수를 흘려보내고 있다 .
광고
사진·글 김흥구 다큐멘터리 사진가

2-1 풍랑주의보가 내린 날, 비와 짙은 해무 속에서도 선명하게 보이는 울릉도.

2-2 해식아치(Sea Arch) 형태의 독립문바위는 다양한 지형학적 특성이 관찰되고 경관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 보호 지역으로 지정됐다. 독립문바위 해역은 어선들의 접안이 가능해 해녀와 어민의 쉼터가 되기도 했다.

2-3 물골은 서도 북쪽 몽돌해안 계곡에 물이 있는 장소로 독도 유일의 식수원이었다. 독도 물질에 나섰던 해녀들이 이곳에서 몇 달씩 머무르며 물질했다. 독도의용수비대가 독도에 첫발을 딛고 장기간 주둔한 곳도 바로 물골이었다.
광고

2-4 동도 정상부 암벽에 독도의용수비대가 새겨놓은 ‘한국령’(韓國領) 영토 표시. 이 표시는 1953년 혹은 1954년에 새겨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2-5 동도에서 바라본 서도.

2-6 서도 ‘998계단’에서 바라본 동도.

온라인용) 동도 망향대에 세워진 대한민국 독도 표지석.
광고

온라인용) 물골에서 바라본 몽돌해안.

온라인용) 어업활동을 하다가 해녀들이 쉬어가던 곳이었다. 1980년대 초 선박 접안장과 물품 운송용 삭도가 설치되면서 시멘트가 덮여 지금의 모습을 하고 있다.
김흥구
한국 근현대에 나타난 뒤틀린 풍경에 관심이 많다. 그러나 거대 담론을 대할 때는 늘 조심스럽다. 국가, 사회, 단체가 아니라 그것을 구성하는 낱낱의 사람들과 그곳에서 파편화돼 나오는 잔해를 채집함으로써 전체를 본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그 많은 수돗물 누가 훔쳤나 [그림판]
“윤석열에 꽃다발 준 입주민, 김태효 모친이었다”
서울고법, 윤석열 21일 공판도 ‘지하 출입’ 허용…특혜 논란
‘항명 혐의’ 박정훈 대령 쪽 “윤석열 증인 신청하겠다”…항소심 시작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과 자제 넘은 것, 통합 메시지 담으려 시간 걸려”
이제 이완규 헌법재판관은 안 봐도 되나? [4월17일 뉴스뷰리핑]
‘언론은 적’…1호 당원부터 원내대표·대선 주자도, 한결같은 국힘
‘재난 추경’인데…트라우마센터·이재민 긴급복지 예산 빠져
문형배·이미선 퇴임 “대통령-국회 갈등, 헌재가 해소할 수 있어”
박정훈 대령 쪽 “한 사람 격노로 모두 범죄자 된 사건 실체 밝힐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