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포탄 가득한 섬에 다시 전투기가 날아온다니

미군 포격장 포탄이 남아 있는 매향리 농섬에 군비행장 건설 계획 모락모락
등록 2021-04-25 00:18 수정 2021-04-28 12:39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 앞 농섬에 처음 간 때는 2000년 5월이었다. 미군이 사용한 열화우라늄탄에 의한 방사능 피폭 여부를 확인하려고, 썰물 때를 기다려 갯벌을 가로질러 30여 분을 걸었다. 잠시 사격이 멈춘 농섬은 포탄에 깨져 원래 모습을 잃어갔고, 어른 키만 한 폭탄이 갯벌 여기저기에 방치돼 있었다. 미 공군 사격장인 쿠니사격장이 폐쇄되기 5년 전이었다.

 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미군은 매향리(당시 이름 고온리)에서 불과 1.5㎞ 떨어진 농섬에 시험 삼아 사격훈련을 시작했다. 1954년 미군 주둔 뒤 본격적으로 포탄 세례를 퍼부었다. 1년 중 250일, 1일 평균 11시간, 15~30분 간격으로 폭탄을 투하했다. 50년 넘는 폭격으로 아직 상처가 채 아물지 않은 동네에 이번에는 군비행장이 들어올지 모른다는 소식이 들린다. 폭격의 아픔을 겪은 주민들은 다시 불안에 빠졌다.

 2021년 4월14일 주민의 안내를 받아 다시 농섬을 찾았다. 2006년 폭격장이 폐쇄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바람이 불고 물이 들고 날 때마다 섬과 갯벌에선 녹슨 포탄과 파편이 끝없이 드러난다. 미 공군과 우리 군에서 정화 작업을 했지만, 주민들은 아직도 포탄을 치우고 있다.

화성=사진·글 김진수 선임기자 jsk@hani.co.kr

‘매향리 지킴이’ 전만규 매향리 평화마을 건립추진위원장이 농섬 곳곳에서 주워 쌓아놓은 BDU33(일명 방망이탄)을 들어 보이고 있다. 편대를 이뤄 훈련에 나선 미 공군기는 한 대당 BDU33 6개를 세트로 장착하고, 연습 3회에 이어 평가가 이뤄지는 실전 3회 폭탄을 투하했다. 그 뒤 기총사격 훈련을 위해 같은 방식으로 6회 더 굉음을 내며 날아들어 섬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돌아갔다.

‘매향리 지킴이’ 전만규 매향리 평화마을 건립추진위원장이 농섬 곳곳에서 주워 쌓아놓은 BDU33(일명 방망이탄)을 들어 보이고 있다. 편대를 이뤄 훈련에 나선 미 공군기는 한 대당 BDU33 6개를 세트로 장착하고, 연습 3회에 이어 평가가 이뤄지는 실전 3회 폭탄을 투하했다. 그 뒤 기총사격 훈련을 위해 같은 방식으로 6회 더 굉음을 내며 날아들어 섬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돌아갔다.

‘탱크 킬러’로 알려진 미 공군 전투기 A10이 발사한 30㎜ 총알 탄두. 한번에 50~70발씩 잇따라 쏘며, 방사능 피폭 위험이 있는 열화우라늄탄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탱크 킬러’로 알려진 미 공군 전투기 A10이 발사한 30㎜ 총알 탄두. 한번에 50~70발씩 잇따라 쏘며, 방사능 피폭 위험이 있는 열화우라늄탄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미 해병대원들이 주로 토요일에 헬기나 군용차량을 타고 와서 육상에서 사격 연습을 할 때 쏘고 갔던 40㎜ 유탄 탄두.

미 해병대원들이 주로 토요일에 헬기나 군용차량을 타고 와서 육상에서 사격 연습을 할 때 쏘고 갔던 40㎜ 유탄 탄두.

미 공군의 경공격기 브롱코에서 발사한 2.75인치 로켓탄 잔해.

미 공군의 경공격기 브롱코에서 발사한 2.75인치 로켓탄 잔해.

헬리콥터에서 기총사격할 때 쓰던 캘리버50 기관총 탄두와 M60 탄두(작은 것).

헬리콥터에서 기총사격할 때 쓰던 캘리버50 기관총 탄두와 M60 탄두(작은 것).

농섬 언덕에 깊숙이 박힌 MK82 폭탄.

농섬 언덕에 깊숙이 박힌 MK82 폭탄.

옛 쿠니사격장 사격통제실에서 본 농섬의 일몰. 50년 넘게 미 공군의 폭격 사격장으로 사용되면서 농섬은 면적이 3분의 1로 줄고, 푸르던 숲은 여전히 허옇게 파인 속살을 드러내고 있다.

옛 쿠니사격장 사격통제실에서 본 농섬의 일몰. 50년 넘게 미 공군의 폭격 사격장으로 사용되면서 농섬은 면적이 3분의 1로 줄고, 푸르던 숲은 여전히 허옇게 파인 속살을 드러내고 있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4월2일부터 한겨레 로그인만 지원됩니다 기존에 작성하신 소셜 댓글 삭제 및 계정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라이브리로 연락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