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포탄 가득한 섬에 다시 전투기가 날아온다니

미군 포격장 포탄이 남아 있는 매향리 농섬에 군비행장 건설 계획 모락모락
등록 2021-04-25 00:18 수정 2021-04-28 12:39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 앞 농섬에 처음 간 때는 2000년 5월이었다. 미군이 사용한 열화우라늄탄에 의한 방사능 피폭 여부를 확인하려고, 썰물 때를 기다려 갯벌을 가로질러 30여 분을 걸었다. 잠시 사격이 멈춘 농섬은 포탄에 깨져 원래 모습을 잃어갔고, 어른 키만 한 폭탄이 갯벌 여기저기에 방치돼 있었다. 미 공군 사격장인 쿠니사격장이 폐쇄되기 5년 전이었다.

 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미군은 매향리(당시 이름 고온리)에서 불과 1.5㎞ 떨어진 농섬에 시험 삼아 사격훈련을 시작했다. 1954년 미군 주둔 뒤 본격적으로 포탄 세례를 퍼부었다. 1년 중 250일, 1일 평균 11시간, 15~30분 간격으로 폭탄을 투하했다. 50년 넘는 폭격으로 아직 상처가 채 아물지 않은 동네에 이번에는 군비행장이 들어올지 모른다는 소식이 들린다. 폭격의 아픔을 겪은 주민들은 다시 불안에 빠졌다.

 2021년 4월14일 주민의 안내를 받아 다시 농섬을 찾았다. 2006년 폭격장이 폐쇄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바람이 불고 물이 들고 날 때마다 섬과 갯벌에선 녹슨 포탄과 파편이 끝없이 드러난다. 미 공군과 우리 군에서 정화 작업을 했지만, 주민들은 아직도 포탄을 치우고 있다.

화성=사진·글 김진수 선임기자 jsk@hani.co.kr

‘매향리 지킴이’ 전만규 매향리 평화마을 건립추진위원장이 농섬 곳곳에서 주워 쌓아놓은 BDU33(일명 방망이탄)을 들어 보이고 있다. 편대를 이뤄 훈련에 나선 미 공군기는 한 대당 BDU33 6개를 세트로 장착하고, 연습 3회에 이어 평가가 이뤄지는 실전 3회 폭탄을 투하했다. 그 뒤 기총사격 훈련을 위해 같은 방식으로 6회 더 굉음을 내며 날아들어 섬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돌아갔다.

‘매향리 지킴이’ 전만규 매향리 평화마을 건립추진위원장이 농섬 곳곳에서 주워 쌓아놓은 BDU33(일명 방망이탄)을 들어 보이고 있다. 편대를 이뤄 훈련에 나선 미 공군기는 한 대당 BDU33 6개를 세트로 장착하고, 연습 3회에 이어 평가가 이뤄지는 실전 3회 폭탄을 투하했다. 그 뒤 기총사격 훈련을 위해 같은 방식으로 6회 더 굉음을 내며 날아들어 섬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돌아갔다.

‘탱크 킬러’로 알려진 미 공군 전투기 A10이 발사한 30㎜ 총알 탄두. 한번에 50~70발씩 잇따라 쏘며, 방사능 피폭 위험이 있는 열화우라늄탄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탱크 킬러’로 알려진 미 공군 전투기 A10이 발사한 30㎜ 총알 탄두. 한번에 50~70발씩 잇따라 쏘며, 방사능 피폭 위험이 있는 열화우라늄탄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미 해병대원들이 주로 토요일에 헬기나 군용차량을 타고 와서 육상에서 사격 연습을 할 때 쏘고 갔던 40㎜ 유탄 탄두.

미 해병대원들이 주로 토요일에 헬기나 군용차량을 타고 와서 육상에서 사격 연습을 할 때 쏘고 갔던 40㎜ 유탄 탄두.

미 공군의 경공격기 브롱코에서 발사한 2.75인치 로켓탄 잔해.

미 공군의 경공격기 브롱코에서 발사한 2.75인치 로켓탄 잔해.

헬리콥터에서 기총사격할 때 쓰던 캘리버50 기관총 탄두와 M60 탄두(작은 것).

헬리콥터에서 기총사격할 때 쓰던 캘리버50 기관총 탄두와 M60 탄두(작은 것).

농섬 언덕에 깊숙이 박힌 MK82 폭탄.

농섬 언덕에 깊숙이 박힌 MK82 폭탄.

옛 쿠니사격장 사격통제실에서 본 농섬의 일몰. 50년 넘게 미 공군의 폭격 사격장으로 사용되면서 농섬은 면적이 3분의 1로 줄고, 푸르던 숲은 여전히 허옇게 파인 속살을 드러내고 있다.

옛 쿠니사격장 사격통제실에서 본 농섬의 일몰. 50년 넘게 미 공군의 폭격 사격장으로 사용되면서 농섬은 면적이 3분의 1로 줄고, 푸르던 숲은 여전히 허옇게 파인 속살을 드러내고 있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