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3 당시 제주에서 광주형무소로 끌려갔다 숨진 양천종(당시 54)씨가 75년 만인 2024년 12월17일 고향인 제주로 돌아와 가족 품에 안겼다. 할아버지의 유해를 품에 안은 제주4·3희생자유족회 행방불명인협의회장 양성홍(78·왼쪽 둘째)씨가 제주공항에서 아버지를 기다리던 백발의 딸 양두영(97·가운데)씨에게 하얀 보자기에 싼 유골함을 건넸다. 휠체어에 탄 딸은 두 손으로 건네받고 “아버지”라고 얼굴을 묻고 비비며 슬픔과 그리움을 드러냈다.
이날 제주 4·3 희생자 신원확인 보고회가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렸다. 도 외 지역에서 확인된 4·3 희생자 유해가 봉환된 건 두 번째이고, 유전자 감식으로 신원이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양천종씨의 유해는 제주4·3평화공원 안 봉안관에 안치돼 영면에 들었다. 마지막으로 유해함의 이름을 확인하고 안치되는 모습을 본 딸 양두영씨는 “맨날 걱정했는데, 오늘 아버지가 돌아왔수다. 우리 땅에”라고 마지막 작별 인사를 건넸다.
광고

양천종씨의 유해를 든 양성홍 제주 4·3 행방불명인 유족협의회 회장(왼쪽)과 딸 양두영씨 등 유가족들이 2024년 12월17일 오후 제주시 연동 생전 양씨가 일한 밭터 근처에서 노제를 치르고 있다.

2024년 12월17일 오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교육센터에서 열린 ‘행방불명 4·3 희생자 봉환식 및 신원확인 결과 보고회’에서 딸 양두영씨 등 유족들이 헌화하고 있다.

2024년 12월17일 오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 안 봉안관에서 친손자 양성홍씨(오른쪽)와 딸 양두영씨 등 유족들이 유해함을 살펴보고 있다.

딸 양두영씨가 제주4·3평화공원 안 봉안관에 안치된 아버지의 유해함을 보고 있다.
광고

딸 양두영씨가 제주4·3평화공원 안 봉안관에서 열린 제례를 지켜보고 있다.

제주4·3평화공원 안 봉안관에 안치된 고 양천종씨 유해함.
제주=사진· 글 이종근 선임기자 root2@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이재명 항소심 재판부, 대법원 최신판례로 무죄 선고했다
김계리 “윤상현 개XX, ‘내가 윤심이다’ ‘윤어게인 적통이다’ 이 지X”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중국 시장개방 안 하면 관세 철회 안 해”
“민주당이 뭘 해줬나”…이재명, ‘경선 투표율’ 비상 호남서 총력전
김건희 기소 가능성 커졌다…서울고검 이례적 직접 수사
이재명, 전국지표조사서 처음으로 지지율 40% 넘었다
‘윤 체포 저지’ 김성훈 대기발령…경호처 연판장 17일 만에
대선 전 ‘이재명 선고 불가’ 3가지 이유…할테면 헌재처럼 ‘전원일치’로 하라 [논썰]
프란치스코 교황 마지막 길…오늘 장례 30만명 운집 예상
“깐족 표현 쓰지 마라” “오늘 깐족대는 것만 보고”…한동훈·홍준표 “깐족 배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