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은 하찮은 것이다. 우리는 늘 그걸 배우며 산다. 아버지의 정자와 어머니의 난자가 처음 만나는 순간부터 성공한 삶과 낙오자의 늪 사이에서 허우적대다가 심장과 뇌의 세포가 고단한 생명활동을 접는 순간까지.
태아 A: 생명은 위대하다지만, 생명은 또 얼마나 왜소한 건가요. 사람들은 작은 우리의 생명을 어떻게 여기나요. 아직 아기를 가질 때가 안 돼서, 엄마가 결혼도 안 했으니까, 장애를 지니고 태어날 게 분명하니까… 대수롭지 않게 작별을 고하죠. 생명의 존엄을 말하는 분들, 왜 낙태 반대 운동에 팔 걷지 않나요. 원하지 않는 잉태를 막는 것을 물론이고, 미혼모도 원한다면 자기 아기를 잘 키울 수 있게 지원하고, 장애아를 낳아도 어려움 없이 살 수 있도록 사회가 돕는 일, 그런 운동 말이에요.
어린이 B: 고치기 힘든 병에 걸렸을 때 누가 우리를 책임지나요. 부모님이 가난하면 어떡하나요. 그건 내 책임도 아닌데. 하루 세끼 제대로 챙겨먹지 못하는 친구들은 누가 돌보나요. 그 친구들은 어려서부터 서서히 죽어가고 있는지도 모르는데. 한 해에 자동차에 치여 숨지는 어린이는 몇 명인가요. 생명을 존중한다는 분들, 왜 모든 어린이에게 건강과 안전과 꿈을 똑같이 나눠주는 세상을 위해 팔 걷지 않나요.
청소년 C: 그건 너희가 몰라서 그래. 난 이미 알아버렸어. 생명은 하찮은 것이거든. 자살하려는 친구들이 많아. ×같은 학교, 어른들 때문이지. 하지만 자기 자식만 아니면 아무 관심 없어. 죽는 건 늘 실패한 소수의 문제라고 치부하지. 우리가 아무리 죽어봐야 세상은 바뀌는 게 없어.
노동자 D: 벌써 그런 생각 하면 못쓴다. 너흰 아직 찬란한 미래를 기다릴 나이란다.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넘을 수 없는 벽이 있고, 그 벽 안에서조차 등급을 갈라 차별하는 세상을 알게 될 때까지라도 말이다. 내 생명을 버림으로써 남은 동료들의 삶이 조금이라도 나아질 수 있다면 좋겠는데. 벽 너머 저자들은 나 같은 사람 한 명의 자살쯤은 우습게 여기고, 나를 추모하는 이들마저 과격·폭력 집단이라고 다그치겠지. 그래도 어쩔 수 없지. 우리 같은 사람은 목숨을 버리는 게 가장 크게 말할 수 있는 방법이니까.
철거민 E: 그래도 미련 많은 목숨인데, 그리하지 말게. 나도 잘난 것 하나 없지만, 아등바등 살아왔잖나. 없는 형편이지만 살게만 해준다면 세상에 고마워해야지. 그렇게 살아보려고 망루에도 올라갔던 거고. 거기서 죽을 줄이야 몰랐지. 그래도 살아남은 우리 자식들한테 내 목숨값만큼은 좋은 날을 물려주나 했는데, 그 아이들을 아직도 저리 못살게 구는 놈들을 용서할 수가 없네. 그래, 우리네 목숨 하찮고 하찮은 것이지.
독거노인 F: 하루 종일 자리보전만 하고 있자니 사는 게 사는 게 아니야. 말기암이라니 더 이상 치료받을 생각도, 그럴 돈도 없지. 존엄사라고 하던가. 피붙이조차 알아보지 못하면서 구차하게 목숨을 연명하느니 차라리 세상과의 인연을 정리하는 게 품위 있다는 말씀…. 그렇게 한순간에 품위 있게 죽을 수 있다면 더 소원이 없겠어. 나처럼 누추하게 천천히 죽어가는 노인네들에겐 그런 죽음이라면 더더욱 존엄사라고 할 수 있겠지. 마지막 순간이 늦어지는 건 바라지 않지만, 가끔씩 말 한마디라도 나누며 나도 한 생명이란 걸 느끼게 해줄 고마운 손길이 있다면 좋겠네. 생명이란 하찮은 것이지만 말이네.
이 모든 생명들을 보며 생명은 피어나는 꽃과 같이 아름답고 그 어떤 가치보다 존엄하다고 말할 수 있는 이 누군가. 도덕 교과서에서든, 법전에서든, 권력자의 말에서든 생명 존중이란 거짓말이다. 생명은 하찮은 것이다.
박용현 편집장 piao@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헌재 길목서 ‘키세스 이불’ 덮고 밤샘…“비상식적 선고 날까봐”
케이블타이에 감긴 기자, 입 열다…계엄군 “가져와” 하더니 [영상]
보수 조갑제 “한덕수, 윤석열 편인가 나라 편인가…오판하면 비참한 말년”
“저희 엄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조회수…자영업 구하러 효심이 나섰다
윤석열 선고, 광주 초·중·고 학생들이 지켜본다
이재명, ‘헌재 결정 승복’ 국힘 요구에 “그건 윤석열이 해야”
헌재, 5 대 3 선고 못 하는 이유…‘이진숙 판례’에 적시
마은혁 불임명 ‘위헌’ 판단한 헌재…‘8 대 0’ 외 다른 길 있나?
보령머드 ‘장인’의 5천원 뚝배기…“다이소 납품, 남는 건 인건비뿐”
[사설] 헌재 ‘윤석열 파면’ 지연이 환율·신용위험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