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누가 인터넷을 민주주의의 적으로 만들고 있나

자본과 국가권력에 포위된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톺아본, 로버트 맥체스니의 <디지털 디스커넥트>
등록 2014-12-19 15:05 수정 2020-05-03 04:27

“‘디지털 시장’에서 기업은 개인정보를 상품으로 취급하고 이윤 축적을 위해 무단으로 유통시킨다. 대중들의 중요한 사생활이 이른바 ‘빅데이터’라는 이름으로 거래되는 것이다. 시민의 인권을 보호해야 할 국가권력조차 사회적 통제와 정치적 검열을 위해 이런 데이터에 대한 은밀한 접속과 비밀스러운 독해를 게을리하지 않는다.”

책 〈디지털 디스커넥트〉는 자본과 국가권력에 포위된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분석한다. 노트북에서 다양한 웹브라우저를 살펴보고 있는 인터넷 이용자의 모습. 정용일 기자

책 〈디지털 디스커넥트〉는 자본과 국가권력에 포위된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분석한다. 노트북에서 다양한 웹브라우저를 살펴보고 있는 인터넷 이용자의 모습. 정용일 기자

미국의 언론학자이자 일리노이대학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로버트 맥체스니는 책 (전규찬 옮김, 삼천리 펴냄)를 통해 지난 20여 년간 미국에서 벌어진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보여준다. “독점의 논리가 지배하는 공간이 되었으며, 더 이상 미국에서 민주적이고 자율적인 대중 소통의 공간이 아닌” 인터넷의 현실을 말하고, ‘자본주의가 어떻게 인터넷을 민주주의의 적으로 만들고 있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간다.

광고의 경제학이 지배하는 공간

맥체스니 교수는 인터넷을 일방적으로 옹호하는 예찬론과 디지털을 무조건적으로 비판하는 부정론 모두와 거리를 두면서, 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인터넷에 접근한다. 그는 인터넷이 초래하는 가장 어두운 미래상을 보여주는 분야로 저널리즘을 꼽는다. 상업화된 인터넷 미디어와 광고 의존적이며 독점 지향적인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공익적이고 비판적이어야 할 저널리즘의 죽음을 가속화한다고 우려한다. “미디어는 자본의 사유화 욕망이 관철되고, 소비자의 정보가 상품화되며, 광고의 경제학이 지배하는 철저한 이윤과 경쟁의 공간이다.”

그렇지만 디지털의 미래는 아직 확정된 게 아니다. 우리가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따라 민주주의와 자유, 공공성의 미래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는 디지털과의 단절이나 절연 선언 대신 인터넷 미디어와 디지털 기술을 민주적이고 진보적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 만들어가는 정치적 개입 활동을 제안한다.

무엇보다 독점기업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통해 인터넷과 미디어를 사회의 공공재로 되돌려놓는 게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미국의 경제학자 딘 베이커와 동생 랜디 베이커가 처음 구상해낸 ‘시민 뉴스 바우처’ 도입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모든 미국 성인들에게 자신이 원하는 비영리 뉴스 미디어를 지정해 기부할 수 있는 200달러짜리 쿠폰을 지급하는 방안으로, 이같은 자금 제공 시스템을 이용해 미디어 콘텐츠만 배타적으로 생산하는 비영리 매체에 적용할 수 있다.

독점화와 사유화를 막기 위해

더불어 지역과 공동체 미디어에 대한 지원, 공공 자원으로서 주파수를 관리하고 브로드밴드 이용을 시민의 기본권으로 찾아오는 일, 인터넷 활동 검열을 금지하고 망 중립성 보장 등을 위해 시민들이 결집해야 한다고 말한다.

맥체스니 교수가 전하는 비판과 제안은 미디어 공공성과 민주주의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는 우리 사회도 귀담아 들어야 할 내용이다. 공영방송을 자본과 국가의 통제에서 되찾고 인터넷을 포함한 미디어 부문의 독점화와 사유화를 저지하고 공공성을 강화하는 것, 우리에게도 시급한 일이기에.

허윤희 기자 yhher@hani.co.kr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