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전문지 의 칼린 플로라는 에서 우리는 저 사람과 친구가 될지 안 될지를 본능적으로 알아채며, 그것을 판단하는 데 불과 몇 분도 안 걸린다고 말한다. 취향이 비슷하니까, 자주 보니까, 같은 집단에 있으니까, 라는 이유로 친구가 되는 게 아니라는 거다. 많은 연구자들이 말하길 사랑도 그렇다. 우리는 누구와 사랑에 빠질지 본능적으로 결정하며, 순식간에 예감한다. 그래서 달달함에 빠진 연인들이 즐겨 하는 일 중 하나가 ‘처음 만났던 때’를 곱씹고 또 곱씹으며 자신들의 운명론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사실 그 순간은 잠깐 스쳐간 아주 짧은 시간에 불과한데 말이다.
불행하게도 우리는 사랑의 시작만 예감하는 게 아니라, 사랑의 끝도 예감한다. 그리고 그 예감이 현실이 되면 끝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찾아낸다. 그 사람 성격에 문제가 있었으니까, 장거리 연애는 힘들었으니까, 집안의 반대가 심했으니까 등등. 그 이유의 대부분이 시작할 때도 이미 알고 있던 것이라는 게 확인되고 나면, 밀려오는 것은 쓸쓸함이다. 원래부터 통과할 수 없었던 시험에 응시한 기분이라고 할까.
는 끝날 것을 알면서도 시작하는 연인들을 위한 응원 같은 소설이다. 이미 수많은 베스트셀러를 쏟아낸 존 그린의 작품이며, 올해 개봉한 영화 의 원작이다. 이 소설은 말기암 환자인 16살 소녀 헤이즐과 골육종을 앓고 있는 17살 소년 어거스터스의 러브 스토리를 그린다. 이 작품은 흔히 접하는 ‘무늬만’ 불치병인 스토리와 완전히 다르다. 누군가의 죽음으로 끝날 것이 뻔한 이 사랑을 우리는 과연 시작할 수 있을까? 이 작품은 그런 상투적인 질문과 예상을 가볍게 뛰어넘는다. 연애를 할지 말지는 얼굴을 처음 마주한 순간 눈이 맞은 두 사람에게 이미 과거다. 심지어 어거스터스의 전 여자친구도 말기암 환자였고, 그녀는 이미 죽었다. 이들의 고민은 다른 데 있다. “난 그 애가 먼저 죽어서 내가 죽어가는 걸 모르게 하고 싶어요.” 어거스터스가 죽은 다음에 발견된 편지가 말해주듯, 그들은 상대방에게 사랑이 끝나가는 것을 지켜봐야 하는 고통을 느끼게 하고 싶지 않다는 소망만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이 세상을 살면서 상처를 받을지 안 받을지 선택할 수는 없지만, 누구로부터 상처를 받을지는 고를 수 있어요. 난 내 선택이 좋아요”라는 대사에 이르면, 예정된 슬픈 결말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이 이토록 생기롭게 전개될 수 있는 이유를 알게 된다. 예정된 것이라 해도 함께하는 동안에는 예감하지 않겠다는 저 씩씩한 자세라니. 살아 있는 모든 연인들에게 창피함과 동시에 용기를 일깨우지 않는가.
김보경 웅진지식하우스 대표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명태균에 아들 채용 청탁…대통령실 6급 근무” 주장 나와
‘미국 최고 의사’ 84살 김의신 “암에 좋은 음식 따로 없어, 그 대신…”
법원, KBS 박장범 임명 효력정지 가처분신청 기각
“대통령 술친구 이긴 ‘김건희 파우치’…낙하산 사장 선임은 무효”
탄두가 ‘주렁주렁’…푸틴이 쏜 ‘개암나무’ 신형 미사일 위력은
관저 유령건물 1년8개월 ‘감사 패싱’…“대통령실 감사방해죄 가능성”
다 ‘내가 했다’는 명태균, 이번엔 “창원지검장 나 때문에 왔는데…”
꺼끌꺼끌 단단한 배 껍질…항산화력 최고 5배 증가 [건강한겨레]
“회장 자녀 친구 ‘부정채용’…반대하다 인사조처” 체육회 인사부장 증언
킨텍스에 또 “폭탄 설치” 대피 소동…경찰 “구상권 청구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