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스트로가츠는 세계적인 천재 수학자. 카오스와 복잡계 이론의 대부로 꼽히는 그의 책에 이런 대목이 있다. 미국에서는 약 10년마다 한 번씩 수학 교수법이 확 바뀌어 부모들을 좌절시키는데, 스트로가츠가 초등학교 2학년일 때 그의 부모는 도움을 주지 못했다. 삼진법이나 벤다이어그램은 들어본 적도 없으셨으니. 그런데 이제 부모가 된 스트로가츠의 차례가 왔다. “아빠, 이 곱셈 푸는 법 좀 알려주세요.” “그야 문제없지.” “그게 아니라고요. 그건 옛날 방식이잖아요. 격자곱셈 방법 모르세요? 부분곱셈은 아세요?”
일단 스트로가츠 같은 사람도 아들에게 이런 굴욕을 당했음에 안도하자. 우리가 수포자(수학포기자)인 것은 머리가 나빠서가 아니다. 그건 교육제도 때문이다. 그런데 그다음 이야기는 좀 다르게 전개된다. 스트로가츠는 학교를 욕하지 않고, 이 일화를 통해 덧셈 사고법과 곱셈 사고법이 뭐가 다른지 설명한다. 수포자인 내가 이해한 바는 이거다. 7×3을 보면 우리는 7을 3번 더하라고 자동적으로 생각한다. 이게 덧셈 사고법이다. 반면 7×3을 보고 이것이 3×7과 동일한 크기라는 것을 상상하는 것, 이게 곱셈 사고법이다.
이걸 이해하면 머리가 오른쪽으로만이 아니라, 왼쪽으로도 회전하는 기분이 든다. 즉, 7×3은 단지 21이라는 숫자를 얻기 위한 식이 아닌 것이다. 이 수식 안에는 많은 이미지와 교환의 마법이 숨어 있다. 스트로가츠가 이 이야기를 한 이유가 뭘까? 수학은 결과를 얻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는 것을, 수학의 목적은 실용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수(數)의 매력 자체를 느끼는 데 있음을, 동일한 문제를 다르게 푸는 방법을 생각해내는 것이 얼마나 기쁨을 주는지를 전해주고 싶은 것이다.
스트로가츠가 에 연재한 수학 칼럼에는 이런 이야기들이 가득한데, 'X의 즐거움'은 그 글을 모은 책이다. 머리말에서 저자는 수학을 알게 되면 몇 명과 연애를 한 뒤에 결혼 상대를 선택하는 게 좋은지도 알 수 있다고 독자들을 유혹하는데, 사실 그런 이야기는 없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면 우리는 수의 세계에 흥분하게 되고, 인간이 화성에 탐사선을 보낼 수 있었던 위대함도 만고 쓸데없는 수학에 매력을 느낀 덕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뜬금없이 사랑의 참고도서에 웬 수학 책이냐고? 사실 사랑이 먹고사는 데 별 쓸데가 없다. 물론 마음을 위로하고, 쾌락을 얻는 것도 효용이라고 할 수 있다. 혹은 진화론적 설명을 통해 인류가 사랑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할 수도 있다. 하지만 사랑은 어떤 결과를 얻기 위해 시작되지도 않고, 유지되지도 않는다는 것을 우리는 안다. 그냥 사랑이라는 어떤 세계가 매력적일 뿐이다. 이 책을 읽으면 머리가 나빠도 수학을 좋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붙는다. 사랑도 그렇다. 사랑을 하는 데 기술과 조건이 뭐가 필요한가. 이 책이 인간이라면 누구나 수포자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하듯, 사랑에 포기가 어디 있는가. 교육제도가 엉망이라고 수학을 포기하지 말기를, 세상이 고통스럽다고 사랑을 포기하지 말기를.
김보경 웅진지식하우스 대표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미국 최고 의사’ 84살 김의신 “암에 좋은 음식 따로 없어, 그 대신…”
다 ‘내가 했다’는 명태균, 이번엔 “창원지검장 나 때문에 왔는데…”
“대통령 술친구 이긴 ‘김건희 파우치’…낙하산 사장 선임은 무효”
법원, KBS 박장범 임명 효력정지 가처분신청 기각
관저 유령건물 1년8개월 ‘감사 패싱’…“대통령실 감사방해죄 가능성”
이재명 ‘법카 유용’ 혐의도 ‘대북송금’ 재판부가 맡는다
핵탄두가 ‘주렁주렁’…푸틴이 쏜 ‘개암나무’ 신형 미사일 위력은
일상적 불심검문에 대학생·시민들 ‘불복종’…공권력 바꿨다
임영웅 ‘피케팅’ 대기 2만1578번 “선방”…‘광클 사회’ 괜찮나?
홍준표, 이재명 법카 기소에 “마이 묵었다 아이가? 그저 망신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