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지대 고라즈데

조 사코 지음, 함규진 옮김, 글논그림밭(02-511-3495) 펴냄, 1만5천원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비참한 삶을 그린 만화 으로 한국에도 잘 알려진 만화가 조 사코가 90년대 중반 보스니아 내전의 참상을 취재했다. 고라즈데는 내전기간에 민간인 보호 차원에서 유엔이 정한 ‘안전지대’ 중 하나이다. 안전지대라는 이름과 정반대로 세계의 이목이 수도 사라예보에 집중돼 있는 동안 ‘인종청소’의 현장이 돼버린 곳이다. 지은이는 고라즈데 시민들의 일상을 통해 전쟁을 일으킨 자들과 부추긴 자들을 고발한다.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스티븐 컨 지음, 박성관 옮김, 휴머니스트(02-335-4422) 펴냄, 3만원
서구 사회의 ‘좋았던 시절’이라 일컫는 1880년부터 1914년까지의 문화사. 지은이는 이 기간에 서양에서는 시간과 공간을 인식하고 경험하는 새로운 방식이 만들어졌음을 파악하고 그 변화를 그려낸다. 마르셀 프루스트, 제임스 조이스, 토마스 만, 웰스, 거트루드 스타인, 프로이트, 조지프 콘래드, 아인슈타인, 피카소 등 다양한 인물과 작품을 분석하며 현대 세계를 ‘결정形?막?규정한 이 시기의 생활과 정신을 설명한다.
남자의 이미지

조지 L. 모스 지음, 이광조 옮김, 문예출판사(02-395-5681) 펴냄, 1만3천원
‘남자다움’이라는 것이 오랜 인류 역사에서 어떻게 하나의 고정된 이미지로 형성됐는지를 보여준다. ‘남성 스테레오타입’이 역사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변해왔으며 그것이 가져온 정치적인 결과는 무엇인지, 다양한 이데올로기 및 사회현상과 남자다움의 개념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조명한다. 이 흥미로운 여행은 고대 그리스의 조각에서부터 현대의 광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고 있다.
국립대 통합네트워크-입시 지옥과 학벌 사회를 넘어

정진상 지음, 책세상(02-707-0100) 펴냄, 5900원
무한 입시경쟁의 근본 원인은 입시제도가 아니라 서울대를 정점으로 하는 ‘대학서열 체제’와 우리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로 군림하고 있는 ‘학벌주의’에 있다고 지적한다. 이 근원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국립대 통합네트워크’라는 개혁안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의 국립대학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며, 학구별 통합, 전문대학원 설치 등을 골자로 하는 이 책은 대입제도를 근본적으로 개혁해 대학을 평준화하자고 제안한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이래서 재판 되겠냐”…자꾸 봐주니 판사한테도 훈계
[속보] 김성훈 경호차장 “4월 말 사퇴”…초유의 연판장에 백기
[단독] 홍준표 쪽-명태균 1억원 돈거래 정황…“김영선 선거비용 5천”
‘마은혁 임명 거부’ 최상목 “16일 청문회서 답변 드리겠다”
“예수 같은 윤석열” 전한길…성경엔 “이런 사람 멀리하라”
헌재, ‘한덕수의 재판관 지명 사건’ 내일도 평의 연다
용인서 부모·아내·두 딸까지 5명 살해…50대 남성 체포
법원, 또 윤석열만 예외…‘뒷줄 맨 안쪽’ 피고인석 왜 놔뒀나
공수처, ‘윤석열 석방 지휘’ 심우정 검찰총장 고발인 조사
“윤석열 500만원 캣타워, 국고손실 따지자…착복 의심 수사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