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의 생활, 단약·단주(약을 끊고 술을 끊음)를 생각하면서 지난 일을 반성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마약방(미결수 혼거방)에서는 매일매일 마약 이야기만 합니다. 저도 이 방에 친하게 지내는 형·동생이 있지만 함께 있으면 가슴이 답답합니다. 정신불안·우울증·불면증 증세까지 와서 견딜 수가 없습니다. 독거방에 갈 수 있는 방법이 없겠습니까. 원장님 도와주세요.”
2021년 12월 한 마약중독자가 구치소에서 과거 그를 치료했던 의료진에게 편지를 보내 구조를 요청했다. 수감시설 안에서의 ‘말뽕’, 즉 마약 할 때 느낌을 얘기하면서 흥분하고, 약물중독 재발을 연습하는 일 때문에 겪는 고통을 호소한 것이다. 이 남자의 구조는 실패했다.
2022년 10월 윤석열 정부가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범정부가 총력 대응해 4개월간(2022년 11월~2023년 2월) 마약사범 5809명을 적발한 ‘성과’도 올렸다. 이렇게 적발된 마약사범의 상당수가 사회에서 격리된다. 그런데 구치소·교도소 다음은 뭘까.
경기도 남양주, 부산과 경남 김해 등에서 회복에 진심인 ‘약물중독자’들을 만났다. 스스로 약물을 끊을 수 없어 치료공동체를 찾은 ‘극소수 운 좋은 사람들’이었다. 하지만 이 중독자들에게 여전히 큰 장애물이 버티고 서 있었다. 약물중독자를 ‘환자’로 보기보단 ‘법을 어긴 마약사범’(죄인)으로, 병의 ‘재발’을 ‘법을 우습게 아는 재범’으로 낙인찍는 사회 시선이다. ‘그런 나쁜 범죄자들한테 왜 돈을 써?’라는 시각 때문일까. 중독자를 위한 치료·재활 인프라는 찾아보기 어렵다.
1980년대까지 대대적인 마약과의 전쟁을 벌인 미국은 높은 재범률과 수감시설 부족에 높은 사회·경제적 비용 등의 이유로 치료·재활 중심으로 방향을 틀었다. 약물남용 관련 예산 350억달러(약 46조3천억원) 중 절반이 넘는 185억달러(약 24조5천억원)를 치료와 예방에 쏟아붓는다.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우리나라 마약중독 치료 예산은 4억2천만원(2023년)에 불과하다. ‘잡히기만 해봐라’ 눈에 불을 켜고 달려드는 이 전쟁 통에 약물을 끊으려 발버둥치는 중독자들은 무사히 회복해 사회로 돌아갈 수 있을까
김양진 기자 ky0295@hani.co.kr
관련 기사
한동훈 장관님, 마약과의 전쟁 말고 치료가 필요합니다
“평생 약물서 회복하려고 노력해야”…일본 DARC 사람들
약물에 취해 “엄마를 ‘엄마 탈을 쓴 악당’ 생각”…중독인정 계기는
약물 회복기…혼자서 끊을 수 있다면 중독이 아닙니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영상] “대통령이 자꾸 거짓말”…수능 마친 고3도 서울 도심 ‘퇴진’ 집회에
정부,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 결정…‘굴욕외교’ 비판 피하기
82살까지 살아도 65살부턴 골골…‘건강한 노화’는 꿈이런가
“국민 요구 모두 거부하니”…서울 도심서 ‘윤 대통령 거부’ 행진·집회
“명태균에 아들 채용 청탁…대통령실 6급 근무” 주장 나와
‘미국 최고 의사’ 84살 김의신 “암에 좋은 음식 따로 없어, 그 대신…”
“박장범 사장 임명으로 ‘김건희 방송’ 전락…국민과 함께 복원할 것”
‘1호 헌법연구관’ 이석연, 이재명 판결에 “부관참시…균형 잃어”
탄두가 ‘주렁주렁’…푸틴이 쏜 ‘개암나무’ 신형 미사일 위력은
성균관대 교수·동문들 “윤석열 퇴진…사회적 연대 재건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