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틱톡 모니터링 직원을 지켜라

등록 2022-01-02 15:27 수정 2022-01-03 10:23
화면 갈무리

화면 갈무리

틱톡은 창의적 표현으로 즐거움을 찾는 다양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숏폼 플랫폼이다. 하지만 ‘다양한’ 사람들이 있는 만큼 종잡을 수 없는 영상도 간혹 올라온다.

2021년 12월24일(현지시각) 미국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틱톡 직원들은 하루 12시간 교대 근무를 하며 동영상 수백 개를 시청해야 한다. 직원들은 참수, 동물 사지 절단, 아동 포르노, 총기 난사, 성폭행 등 잔인하고 폭력적인 영상에 일상적으로 노출돼 있다. 휴식으로 주어진 시간은 점심시간 1시간과 쉬는 시간 15분 두어 번에 불과했다. 영상 1개를 25초 이내로 처리해야 하며, 한 번에 영상 3~10개를 동시에 봐야 했다.

틱톡에서 유해 영상물 모니터링 업무를 맡아온 직원 1만여 명이 틱톡과 모기업 바이트댄스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수차례 폭력적인 영상물에 노출되는 등 근무환경이 열악하다는 이유였다. 이들은 사 쪽이 업계 기준을 지키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다른 기업들은 모니터링을 맡은 직원에게 휴식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심리치료를 지원하고 블러링(영상을 흐리게 처리하는 것) 등 기술적 안전장치를 제공한다고도 주장했다. 이들은 회사에 콘텐츠 관리 직원들을 위한 의료기금 설립과 정신적 피해 보상을 요구했다.

광고

2021년 1분기 틱톡의 ‘투명성 보고서’에 따르면 틱톡은 유해성 콘텐츠를 음란물, 혐오, 미성년자 안전 등 9개 카테고리로 나눈 뒤 자체적으로 삭제했다. 삭제된 동영상 중 82%는 조회되기 전에, 93%는 게시 후 24시간 이내에 삭제됐다고 틱톡은 밝혔다.

미국에서는 비슷한 사례의 소송 제기와 보상이 이전에도 수차례 제기됐다. 2018년 콘텐츠 모니터링 직원들이 소셜미디어기업 페이스북을 상대로 제기한 집단소송에서는 사 쪽이 합의금 5200만달러(약 617억원)를 지급하라는 판결이 나왔다.

정성은 콘텐츠 제작사 ‘비디오편의점’ 대표PD

관심 분야 웃기고 슬픈 세상사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광고

4월3일부터 한겨레 로그인만 지원됩니다 기존에 작성하신 소셜 댓글 삭제 및 계정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라이브리로 연락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