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정치인의 주장으로 시작된 모병제 징병제 논의가 곳곳에서 뜨겁다. 그 풍경을 보며 든 첫 느낌은 ‘세월이 흘렀다’는 거다. 20여 년 전만 해도 진보는 모병제, 보수는 징병제, 이게 기본값이었다. 군사정권을 눈앞에서 본 세대니 군사주의에 대한 본능적 거부감이 살아 있었고, 모병제는 더 나은 사회를 위해서라면 당연히 추구해야 할 미래의 이상처럼 받아들여진 시절도 있었다.
지금 여기저기에서 벌어지는 논쟁을 보니 사람들의 인식이 그 시절과 많이 달라졌다. 군사주의에 반대했던 이들도 한국이 처한 특수한 안보 여건을 생각할 때 국방 문제를 가볍게 다룰 수 없다고 말한다. 군대 가기 싫어하는 청년이라고 무조건 모병제에 찬성하는 것은 아니다. 모병제가 되면 국방력에 문제가 생길 거라며 ‘우리가 내 생각만 하고 나라 걱정 안 하는 사람으로 보이냐’는 밀리터리 마니아부터, 특권층 자제의 군면제에 분노하며 ‘그냥 공정하게 무조건 다 보내라’라는 반응까지 다양하다.
그중 모병제를 하면 하층 청년들이 주로 지원할 것이라는 주장을 둘러싼 논쟁도 흥미롭다. 모병제를 실시하는 미국의 경우, 가난한 청년만 군대에 가는 게 아니라 중산층 청년의 비율도 높다. 그럼에도 실제 이라크전 전사자 네 명 중 세 명은 주민소득이 미국 평균에 못 미치는, 저소득 소도시 지역 출신이다. 그러나 어쩌면 일자리가 적은 지역의 청년들에게 교육과 사회 진출의 기회, 경제적 탈출구를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모병제가 나을 수 있다는 것도 사실이다.
어떤 주장을 하든 공통으로 모병제는 먼 미래의 일이니 당장 군대 사병 월급이나 올려달라는 건 디폴트값이다. 인생의 어떤 기회를 국가가 가져가놓고, 그것에 대해 보상도, 인정도 제대로 안 하는 건 정말 싫다. ‘무엇이 가장 좋은가’에 대해선 여러 이견이 있겠지만, ‘이건 진짜 아니다’라는 것에는 합의하는 폭이 크다.
정치를 하든 장사를 하든, 사람들이 가장 원하는 게 뭘까 고민하게 된다. 내 속도 잘 모르겠는데 남의 속 알기가 쉬운 일은 아니다. 그것도 ‘최대한 많은 다수’가 만족하는 걸 알기란 더욱 쉽지 않아 보인다. 물론 A·B·C·D 같은 안을 놓고 각 안에서 사람들이 만족하는 ‘값’을 실제 측정할 수 있다면 이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어려운 일이긴 하다. 심지어 다수가 만족하는 안을 찾아야 한다는 생각조차 안 하고, ‘내 생각에 이게 제일 옳다’는 함정에 빠지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그럴 때는 차라리 ‘진짜 싫어하는 게 무엇이냐’를 파고들면 다수가 만족하는 답을 찾기 편하겠다는 생각을 모병제 논쟁을 보면서 했다.
‘싫음’의 목록들모병제든 징병제든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겠지만, 군대에서 맞는 건 싫고, 군대 나와서 바보 된 듯한 상황도 싫고, 군대 간 것도 억울한데 내 돈으로 물품 사야 하는 것도 싫고, 누구는 안 가고 누구는 가는 것도 싫고…. 그런 ‘싫음’의 목록은 금방 나오고 그 싫음의 정도도 쉽게 가늠되기도 한다. 그리고 그 싫음의 목록을 들여다보면 ‘시대의 변화’가 보인다.
이 시대 청년들을 두고 해석 전쟁이 벌어진 지 오래됐다. 청년들이 ‘이걸 원한다’고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해석하는 이쪽과 저쪽이 난무하고, 서로 마음을 잡으려는 약속을 내건다. 그건 됐고 ‘무엇을 왜 싫어하는지’만 잘 알아도 실수 안 할 수 있다. ‘싫어하는 일만 안 하는 것’도 정말 어렵지 않나.
김보경 출판인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노인단체 시국선언 “윤석열 지킨다는 노인들, 더는 추태 부리지 마라”
“윤석열의 체포 불응, 법률가 출신이라 볼 수 없는 수준…그냥 비정상”
오겜2의 ‘리더’ 이정재 “사극 같은 말투, 이유가 있습니다”
윤석열의 탄핵 심판, ‘전원일치’ 결정이 필요하다
방첩사, 이재명 체포조 5명 꾸려 가장 먼저 국회 출동시켰다
[단독] 김용현, ‘비육사’ 정보사 100여단장 직무대리 교체 시도
60대 은퇴 부부, 유럽 자유여행으로 인생 2막 출발
경찰 특수단, ‘윤석열 체포방해’ 박종준 경호처장 2차 출석요구
습하고 무거운 소한 폭설…수도권·강원 중심
공수처, 대통령 관저 진입…윤석열 체포영장 집행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