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도 방문을 걸어 잠근 자녀를 둔 부모들의 모임이 생긴다. 매달 셋째 토요일 서울 종로구에 있는 청년재단에서 자신들의 상황을 공유하고 자조하던 부모들이 적극적으로 정책 제안까지 하기 위해 ‘한국은둔형외톨이(은톨)부모협회’(이하 협회)를 만들기로 했다. 협회는 1월11일 총회를 연 뒤 발족한다. 지난해 12월30일 오후 서울 은평구 한 카페에서 주상희 공동대표를 만나 협회를 추진한 계기와 앞으로의 계획 등을 들었다.
자치·민간단체 지원 기간 짧아서“나도 10여 년 동안 방 안에 틀어박힌 아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몰라 많이 방황했다. 관공서를 찾아다녔지만 우리에게 도움을 주는 제도나 시스템이 없어 혼자 고민했다. 그때 도움을 주는 사람이 있었으면 덜 힘들었을 것이다. 미리 겪은 사람으로서, 같은 고민을 안고 있는 부모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었다. 1년여간 부모 모임을 했지만 단순 모임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은둔형 외톨이(제1263호 “허공에 떠 있는 우리가 보이지 않나요”) 자녀를 둔 부모들은 약 1년 동안 한 달에 한 번 부모 교류회를 하며 공감으로 상처를 치유해왔다. 어디서도 털어놓지 못했던 자녀 문제를 비슷한 경험을 하는 다른 부모들과 나눈 것이다. 하지만 갈급함이 있었다. 현재 지방자치단체나 민간단체에서 지원하는 고립청년들에 대한 프로그램이 산발적이고 지원 기간이 짧았던 탓이다. “은둔형 외톨이들은 장기간에 걸친 지원이 필요한데 지원 기간이 짧게는 몇 개월, 길게는 1년에 불과해 효과가 나타나기 힘들었다.”
부모들 사이에 당사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으면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이 요원할 것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지난해 10월부터 협회 설립을 추진했다.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기 위해 2005년 한국에 은둔형 외톨이 문제를 공론화한 여인중 동남정신과의원 원장과 은둔형 외톨이 부모 모임을 꾸린 경험이 있는 박대령 이아당심리상담센터 센터장을 고문으로 모셨다.
주 대표는 자녀의 은둔 기간으로 치면 사실상 ‘맏이 격’이다. 아들은 고등학교 3학년이던 2007년 여름께부터 학교에 가길 거부했다. 학교에 가면 몸부터 반응해 설사병이 났다. 어르고 달래 겨우 고등학교를 졸업시킨 뒤 지방의 한 대학에 입학시켰지만 아들은 학교에 적응하지 못했다. 학교 근처에서 자취한 아들이 주중에 학교에 가지 않는다는 사실은 개강한 지 3개월이 넘었을 즈음 교수의 연락을 받고서 알았다.
아들의 상황이 낯설진 않았다. 일본 유학 시절 언론에서 봤던 히키코모리 생활과 유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없었기에 어디에서도 대응책을 구하지 못했다. 주씨가 홀로 맞아야 했던 답 없는 혼란은 다른 은둔형 외톨이 자녀를 둔 부모들이 겪는 궤적과 일치했다. “정신과, 심리상담센터를 전전했다. 아들을 정신병원에 입원시키기도 했다. 정신과에서 처방받은 우울증약을 하루에 한 움큼씩 먹었지만 아들의 상태는 나아지질 않았다.” 우연히 인터넷에서 일본 히키코모리 자립단체 K2인터내셔널(K2)이 한국에도 있다는 걸 알고 아들을 그곳에 보냈다. 아들은 한동안 K2에서 운영하는 직업 프로그램 ‘돈카페’에서 일하기도 했다.
설립 전부터 은평구·서울시 제안서 제출2017년 주 대표 아들의 사연이 기사화하면서 K2엔 은둔형 외톨이 부모들의 문의가 이어졌다. “한국에도 은둔형 외톨이가 있다는 사실이 본격적으로 알려지면서 은둔형 외톨이 부모들이 모이는 계기가 됐다.” 간절함에 K2를 찾은 부모들은 2018년부터 ‘열쇳방’ 모임을 해왔다. 주 대표는 “모임에 나온 부모들은 자신이 육아를 잘못해서 아이가 은둔하게 됐다고 자책한다. 하지만 입시 경쟁, 왕따 등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들여다봐야 한다. 그래서 정부에 대책을 마련하고, 지원해달라고 요구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국보다 먼저 청년들의 고립을 사회문제로 겪은 일본에는 은둔형 외톨이 당사자 단체인 ‘KHJ 전국 히키코모리 가족 연합회’가 있다. 이 단체는 일본 정부의 지원으로 히키코모리 가족 실태를 조사하고, 당사자와 가족의 사회적 고립을 막으려고 상담을 지원한다. 이뿐만 아니라 정책까지 제안한다. 한국 협회의 롤모델이다.
2019년 연말엔 같은 경험을 하는 두 나라의 부모들이 화상통화를 했다. 주 대표는 “일본 히키코모리 이슈에선 민간이 주도하고 관이 뒤따르는 형식이었는데, 한국은 광주에서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가 통과된 뒤 부모 모임이 생기는 것을 보고 일본 부모들이 의아해했다. 협회에 적극적으로 활동할 것을 조언했다”고 말했다.
협회는 발족 전부터 부지런히 움직이고 있다. 2019년 말엔 김미경 은평구청장에게 제안서를 냈다. 은평구에 있는 빈집을 지원해주면, 그 공간을 활용해 심리상담을 하고, 관계맺기를 훈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는 내용이다. 밤늦게까지 은둔형 외톨이들이 머물 수 있는 공간을 통해 사회와의 접촉면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김미경 구청장은 서울시의원이던 2017년 은둔형 외톨이 지원 방안을 담은 조례를 발의하기도 했다.
비슷한 내용의 제안서를 서울시에 제출해, 2019년 12월14일에는 은둔형 외톨이 부모들과 함께 박원순 서울시장을 만났다. 이 만남에서 서울시가 보유한 공간을 은둔형 외톨이들의 공동생활 공간으로 제공하는 등의 논의가 나왔다. 서울시 관계자는 에 “당시 만남에서 시장은 은둔형 외톨이는 기성 어른들의 잘못이기에 공공의 도움이 필요하며 은둔형 외톨이들의 자립을 지원할 수 있는 마스터플랜을 만들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와 별개로 서울시 청년청은 지난해 성북구와 함께한 고립청년 밀착지원 사업을 올해는 2개 구로 늘릴 예정이다.
“부모들 정신건강도 중요”현재 협회 회원으로는 20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 회원은 충남 천안, 대구, 부산에서도 살지만 주로 수도권에 거주한다. 참여자가 늘어 지역에서도 모임이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아직 시작 단계지만 장기적으로는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등록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 협회는 은둔형 외톨이 당사자 지원뿐 아니라 가족을 향한 지원도 함께 할 예정이다. “아이가 아프니까 부모들도 함께 아프다. 은둔형 외톨이는 단기간에 끝나기 어려운 문제이기 때문에 부모들의 정신건강이 중요”(주 대표)하다.
아들을 이해하기 위해 유아교육까지 공부한 주 대표는 앞으로 협회 운영 계획을 이렇게 말했다. “엄마들이 울면서 하루에도 몇 번씩 전화한다. 물어볼 데가 없으니까 나한테 연락한다. 그런 부모들에게 협회가 비빌 언덕이 되면 좋겠다. 참여하는 부모 대부분이 이런 일을 해본 적이 없어 서툴지만, 당사자들의 가족이 겪은 현실적인 문제를 공론화해나가겠다.”
장수경 기자 flying710@hani.co.kr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12살도 탄핵심판 49:1 뚫고 방청 왔지만…“4분 만에 끝나 황당”
[단독] 용산 ‘역술인’ 행정관 있었다…“윤석열 궁합, 직원 사주 봐”
윤석열 ‘고발사주’ 무혐의, 내란의 싹 키웠다
[속보] 공수처·경찰 ‘관저 출입’ 허가한 55경비단…경호처는 침묵
‘윤석열 체포’ 내일 새벽 재시도 유력…경찰 1000명 투입
[단독] ‘월 500’ 김용현 군인연금 재수령 신청…사직하자마자 한 일
설 민생지원금 1인당 50만원까지…지자체, 내수경제 띄우기
나경원 1심만 6년째…“국힘, 야당 재판지연 비판할 자격 있나”
민간인 윤갑근의 경호처 직원 ‘집합’…“경호관이 경찰관 체포 가능”
42살 ‘젊은 피’ 유승민, 한국 체육 지휘봉 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