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주년이다. 3·1운동이 100년 전에 일어난 일이라는 말이다. 어느 여학교의 3·1운동 역사 자료를 파고든 한 교수는 자료가 부정확해 곤란했던 적이 한두 번이 아니라고 한다. 기념관의 자료, 학교의 자료, 기념비의 자료 등이 참가자 이름, 수형자 수, 수형 기간 등 기본 자료조차 일치하지 않았다. 다른 지역에서 이감된 이 학교 출신이 함께 기재되거나, 만세 시위 뒤 함께 붙들린 동네 사람도 젊은 여성이라는 이유로 학교 재학자가 되었다.
1919년 3·1운동은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으로 실패한 운동이었다. 이후 공식적인 기록을 남기지 못했다. 일제 말 통치는 더욱 가혹해졌다. 운동 뒤 26년이나 지난 뒤에 한국은 독립을 맞았다. 19살이었던 사람은 45살이 되고, 30살이던 사람은 56살이 되는 세월이다. 어지러운 해방 정국에서 연구가 이어지긴 했지만, 이미 3·1운동의 기억은 어지러워지고 있었다. 딴 사람의 경험을 자기 것처럼 이야기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한국의 과거 정권이 3·1운동 연구에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것이 ‘세월’보다 더 큰 적이다.
“해마다 3·1절만 되면 당국은 민주애국 인사들을 자택에 연금시키거나, 체포, 연행 또는 자의반 타의반의 지방 여행을 시키는 것이 최근에 와서 상례화되어왔었다. 3·1절만 되면 당국은 잔뜩 긴장하고, 3·1절을 무사하게 넘기기에 여념이 없었다. 나 자신 신민당 총재로서 1975년 3월1일에 발표할 예정이던 성명을 발표할 수가 없었고, 또한 가까스로 성명을 발표했으나 한 줄도 보도되지 않았었다.”(대통령 기록관 ‘3·1절 유감’)
김영삼 전 대통령이 1993년 대통령이 되어 맞은 3·1절에 남긴 말이다. 정권은 역사를 국가의 이름으로 통제해왔고 만세, 해방, 운동 이런 말조차 두려워했다. 3·1절에 되살려야 할 것은 역사의 해방이기도 하다. 하지만 어쩌랴, 세월은 100년이 흐른 것을. 독재정권이 더 미워지는 3월1일이다.
구둘래 기자 anyone@hani.co.kr전화신청▶ 1566-9595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속보] 이진하 경호처 본부장 경찰 출석…‘강경파’ 김성훈 차장은 세번째 불응
천공 “국민저항권으로 국회 해산”…누리꾼들 “저 인간 잡자”
김민전에 “잠자는 백골공주” 비판 확산…본회의장서 또 쿨쿨
연봉 지키려는 류희림, 직원과 대치…경찰 불러 4시간만에 ‘탈출’
경호처, ‘김건희 라인’ 지휘부로 체포 저지 나설 듯…“사병이냐” 내부 불만
“양경수 죽인다” 민주노총 게시판에 잇단 윤 지지자 추정 협박 글
박종준 전 경호처장 다시 경찰 출석…김성훈 차장은 세번째 불응
25년 경호 공무원의 조언 “대통령 ‘개인’ 아닌 ‘공인’ 지키는 것”
“제주항공 사고기 블랙박스, 충돌 4분 전부터 기록 저장 안돼”
권성동, 비상계엄 한달 지나서야 “느닷없는 사건, 혼란 드려 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