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수현 자유기고가 groove5@naver.com
석궁[s∂kkuŋ] 명사

활의 하나. 철포가 나오기 전 15세기 말까지 중세 유럽에서 사용되다가 2007년 1월 난데없이 서울 송파구에 출몰한 무기. 이날 아파트 2층 계단에서 박홍수 당시 서울고법 부장판사를 기다리던 김명호 전 성균관대 교수 손에 들려 있던 무기다. 박 부장판사는 김 전 교수의 재임용 탈락이 정당한지 여부를 재판하던 이였다. 화살이 박 부장판사의 배에 스쳤느냐, 꽂혔느냐, 튕겨나갔느냐로 시끄럽다.
광고
김 전 교수의 명중률은 높지 않다. 첫 발은 고속버스터미널 앞 식당처럼 4년짜리 뜨내기 손님을 쉽게 보는 대학을 향했다. 김 전 교수는 1995년 1월 성균관대 입시 본고사 수학2의 7번 문제가 잘못 출제됐다고 말했지만, 이 사태는 ‘모범 답안’을 내놓고 끝났다. 그리고 1월26일 수학과 교수들은 김 전 교수에 대한 징계 요구서를 제출했다. 성균관대는 그를 부교수 승진에서 탈락시킨 데 이어, 이듬해 연구 소홀 등의 이유로 재임용에서마저 탈락시켰다.
한 발은 수학의 양심을 향했다. 전국 44개 대학 수학과 교수 189명의 연판장과 외국 수학자들의 항의 편지는 수학 문제의 오류를 주장했지만, 법원이 사실 조회를 요청했을 때 대한수학회와 한국고등과학원은 “답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189명은 말했다. 유명 저널에 세 편의 논문을 낸 김 전 교수가 재임용에서 탈락한다면 부교수로 승진할 수 있는 수학자가 몇이나 되겠냐고.
다음 한 발은 사법부를 향했다. 석궁 사건이 일어나자 2006년 1월19일 비상 전국법원장회의가 열렸다. 석궁 사건은 사법부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자 위협으로 규정됐다. 법원의 호들갑을 잠재울 활 소리는 나지 않았다. 재임용 관련 재판에서 판사는 김 전 교수의 학자적 자질은 인정이 되나 인성 교육에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판사는 모른다. 인성이 좋을 뿐인, 학생들의 엉뚱한 질문에 자동반사적으로 “오, 굿 퀘스천!”(오, 좋은 질문!)이라 응답하고는 그만인 미국 중부 대학의 예의 바른 교수들을. 판사는 교실에 있지 않았으니 더더욱 말할 수 없다. 그 애매모호한 인성에 대해서. 논문 표절 혐의가 있어도 박미석 숙명여대 교수는 청와대 사회정책수석이 되고, 논문 성과를 내도 김 전 교수는 재임용에서 탈락했다. 쏘아도 눈 하나 꿈쩍 않는 세상에선 원칙 없는 정치력이 경쟁력이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보령머드 ‘장인’의 5천원 뚝배기…“다이소 납품, 남는 건 인건비뿐”
헌재, 5 대 3 선고 못 하는 이유…‘이진숙 판례’에 적시
마은혁 불임명 ‘위헌’ 판단한 헌재…‘8대 0’ 외 다른 길 있나?
[단독] “김용현 취임 뒤 오물풍선 경고사격 지시, 계엄 명분 만들기라 생각”
‘헌재 비난’ 안창호 “탄핵 선고 존중” 돌변에…“사과부터 하라” 비판
김은숙 작가 “헌재, 거기 괜찮아요? ‘시그널’ 무전기로 물어보고파”
“반국가세력 언론인으로 척결되겠구나, 두려웠다”…‘707에 포박’ 기자 증언
입만 열면 ‘법치주의’ 한덕수·최상목…“직무유기죄 처벌해야”
나스닥 11% 폭락…트럼프 ‘관세 전쟁’ 50일 처참한 성적표
[사설] 헌재 ‘윤석열 파면’ 지연이 환율·신용위험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