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국내에서 외국인 배우자와 결혼하는 ‘국제결혼’이 급증하고 있다. 관계 당국의 ‘국제결혼 가정의 현황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이뤄진 결혼 가운데 국제결혼이 차지한 비율은 13.6%에 달해 1990년(1.2%)에 비해 무려 11배 이상 늘어났다.
전체 결혼 건수에서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율은 1990년 1.2%였던 것이 1995년 3.4%, 2001년 4.8%, 2002년 5.2%, 2003년 8.4%, 2004년 11.4%, 2005년 13.6%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4만3121건의 총 국제결혼 건수에서 외국인 아내를 얻은 경우가 전체의 72%(3만1180건)으로 외국인 남편을 얻은 건수(1만1941건)의 약 2.6배에 달했다. 저소득층 내국인 남성과 아시아계 여성의 결혼이 우리 사회의 새로운 결혼 양태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외국인 여성과 결혼한 국내 남성의 상당수는 빈곤·저소득층, 장애인, 혼기를 넘긴 고령자 등으로 파악됐고 재혼이 45.3%에 달했다. 국내에서 배우자를 찾지 못하자 외국인 신부를 찾는 남성들이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별로 지난해 한국 남성과 결혼한 외국인 여성은 중국이 2만635명(66%)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 1822명(18.7%), 일본 1255명(4.0%), 필리핀 997명(3.2%), 몽골 561명(1.8%), 우즈베키스탄 333명(1.06%)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 남성과 아시아 여성 간 결혼이 주류를 이루었던 셈이다. 같은 해 한국인 여성과 결혼한 외국인 남성은 중국인이 42.2%(5042명), 일본인이 31%(3672명)로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1999년 결혼상담업이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바뀐 뒤 국제결혼 알선업자의 난립도 국제결혼 증가의 원인으로 꼽았다.
이에 따라 국제결혼으로 태어난 2세 혼혈아가 2010년이면 10만여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국내 초·중·고교에 재학 중인 혼혈아는 도시 지역 3469명, 농촌 지역 2593명 등으로 집계됐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보령머드 ‘장인’의 5천원 뚝배기…“다이소 납품, 남는 건 인건비뿐”
헌재, 5 대 3 선고 못 하는 이유…‘이진숙 판례’에 적시
마은혁 불임명 ‘위헌’ 판단한 헌재…‘8 대 0’ 외 다른 길 있나?
“저희 엄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조회수…자영업 구하러 효심이 나섰다
입만 열면 ‘법치주의’ 한덕수·최상목…“직무유기죄 처벌해야”
‘헌재 비난’ 안창호 “탄핵 선고 존중” 돌변에…“사과부터 하라” 비판
‘만에 하나’ 한덕수, 대선일 공고 뭉개면? “헌재가 막을 수 있다”
김은숙 작가 “헌재, 거기 괜찮아요? ‘시그널’ 무전기로 물어보고파”
강원서도 “윤석열 파면만이 민주주의·경제회복의 시작”
“반국가세력 언론인으로 척결되겠구나, 두려웠다”…‘707에 포박’ 기자 증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