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배 기자 kimyb@hani.co.kr
국가의 공식 통계에선 만 65살에 이르면 ‘노인’으로 분류한다. 생산가능인구(15~64살)을 벗어나는 연령대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인생은 60부터”라며 분개할 이들도 있겠지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유엔 기준이라니 어쩔 수 없다. 일제시대 때인 1925년 전국적인 인구조사를 처음 할 당시에도 생산가능인구는 지금과 같은 연령대였다. 평균 수명이 많이 높아졌는데도 통계학적 노인은 변함없이 그대로인 셈이다.
통계청이 4월25일 내놓은 ‘2005 인구주택 총조사’를 보면, 65살 이상 노인 인구가 436만5천 명이다. 2005년 11월1일 0시 기준이다. 65살 이상 인구는 1985년엔 175만 명에 지나지 않다가 2000년 300만 명대(337만 명)에 들어선 데 이어 5년 만에 400만 명을 넘어섰다. 이 노인 인구를 유소년(14살 이하) 인구로 나눈 ‘노령화지수’는 한 사회의 젊은 정도를 집약한 것으로 ‘국가의 나이’라고 일컬을 만하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14살 이하 인구가 898만6천 명이었으니 노령화지수는 48.6%로 계산된다. 노령화지수는 1990년 19.4%, 1995년 25.8%, 2000년 35.0%로 빠르게 높아져왔다. 이 지수가 올해는 50%를 넘고 2017년쯤엔 100%를 웃돌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보고 있다. 2017년부터는 노인들이 아이들보다 많아진다는 뜻이다.
우리의 노령화 지수는 일본(140.9), 오스트레일리아(64.7), 미국(59.3)보다는 여전히 낮지만 급속히 진행되는 노령화 추세를 감안할 때 얼마 지나지 않아 별반 차이가 없어질 것으로 보인다. 다른 나라들의 경우 수명 연장에 따른 완만한 고령화였던 데 견줘 우리는 수명 연장에 저출산 흐름이 겹쳐 있다. 수명 연장을 막을 수 없는 노릇이고 저출산 흐름을 되돌려야 하는데, 심각한 교육·주택 문제를 감안하면 이 또한 난망이다. 나이 불문하고 사람 값이 높아질 것이란 기대로 위안을 삼아야 할 것 같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트럼프 “북한 핵보유국” 발언 김정은에 협상 신호…한국 당혹
장경태, 석동현 배후설 제기…“서부지법 폭동 사전 모의 가능성”
명태균 “검사가 황금폰 폐기하라 시켜”…공수처 고발 검토
임종석 “이재명만 바라보는 민주당, 국민 신뢰 얻을 수 있나”
[속보] 최상목, 방송법 개정안 등 거부권…대행 이후 6개째
선관위, 권영세 극우 유튜버 설 선물에 “선거법 위반 소지있어”
권성동 “유튜버도 대안언론” 서부지법 폭동 가담자 감싸기
이란 가수, 신성 모독 혐의로 사형 선고…항소 가능
헌재, 윤석열 출석 앞두고 “동선 비공개”…윤 쪽 증인 24명 무더기 신청
“윤석열, 21일부터 헌재 모든 변론기일 출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