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인터넷 스타] 귀여니 시, 댓글 시

등록 2006-01-06 00:00 수정 2020-05-03 04:24

▣ 박종찬 기자/ 한겨레 온라인뉴스부 pjc@hani.co.kr

“윤세님은 전세계 모든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차원을 넘어서 누구나 쓸 수 있는 시를 대신 써주시는 것 같아요!”
“시집이라 출판했네/ 시인들은 다 죽었나?/ 이런 글이 시가 되나/ 어이없는 귀여니 시/ 나는 시라고 인정하지 못해.”(‘인정못해’)
인터넷 소설 <그놈은 멋있었다>로 베스트셀러 작가로 떠오른 귀여니(본명 이윤세·20). 그의 첫 시집 <아프리카>가 누리꾼들의 시 창작열에 불을 지폈다. 귀여니 시집 <아프리카>는 그가 캐나다에서 1년간 머물면서 싸이월드 미니홈피에 올린 124편의 시와 아포리즘(경구)으로 꾸며져 있다. 게시판에 돌고 있는 그의 시는 짧고 간명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명심해./ 하루 만에 당신에게 반했다는 그 사람은/ 다음날 또 다른 사랑에 빠질 수 있다는 걸.”(‘명심해’) “영원이란,/ 누구에게도 허락될 수 없는/ 이 세상의 가장 큰 거짓말.”(‘가장 큰 거짓말’) “신발 끈 더 꽉 묶어./ 우리가 함께 할 코스는/ 백미터 단거리가 아니라/ 마라톤이야 이 멍청아.”(‘코스’)

이런 ‘귀여니 시’를 놓고 누리꾼들은 엇갈린 반응을 내놓는다. 일부는 “시가 아니라 낙서나 일기 수준의 글”이라며 “함량 미달이고 시에 대한 모독”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나 회원 수 100만 명이 넘는 다음의 ‘귀사모 카페’에서는 “아프리카 때문에 기분이 좋아진다. 어쩌면 시도 이렇게 쉽고 재미있게 쓸 수 있느냐”고 찬사를 보내고 있다.

누리꾼들은 또 귀여니 시를 소개한 포털 뉴스 기사의 댓글을 통해 귀여니 시를 패러디해 다양한 창작시를 쏟아내고 있다. 해당 기사는 하루 만에 6천여 건의 댓글이 달려 누리꾼 사이에 새로운 ‘성지’로 불리고 있다.

광고

“명심해./ 하루 만에 너에게 반했다는 그 사람은/ 다음날 너의 안티가 될 수도 있단 걸.”(‘명심해’) “북경오리/ 때려잡고/ 떡볶이를/ 씹어먹고/ 마을버스/ 뛰어내려”(‘육봉달의 하루) “귀여나/ 오빠야/ 오빠가 하는 말/ 오해하지 말고 들어/ 그 시집, 책을/ 화성에다 던져버리면/ 안 되겠니?”(‘현대개념백서’) “이게/ 다/ 노무현/ 때문이다.”(‘야당의원생각’) “청계천이 흐른다./ 불도저로 밀었다./ 이명박이 시켰다.”(‘서울시’) “귀여니에게/ 시를 쓸 수 있는/ 원천기술이 있는지/ 검증하여/ 무엇하랴?”(‘pd수첩’)

귀여니 시에 대한 함량 미달 논란을 떠나 인터넷 시대 문학창작은 새로운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미니홈피 글이 시집이 되고, 댓글로 집단 창작시가 등장하고 있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광고

4월3일부터 한겨레 로그인만 지원됩니다 기존에 작성하신 소셜 댓글 삭제 및 계정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라이브리로 연락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