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쳤어.” “왜?” “다들 난리야. 어제 2억8천만원 뛴 게 최고가였어. 다들 부동산만 생각해.” “헐!” “지금 3040 죽을 맛이야. 하루에 몇천, 몇억씩 오르는 전설의 시기야. 다들 정부 욕해.”
대화는 복덕방에서 걸려온 전화로 끊겼다. 휴직 중인 서보미 기자는 이사 가려고 일주일 전 집을 팔았다가 때아닌 집 구하기 전쟁을 치르고 있다.구로동, 상암동, 화곡동, 공덕동 등지 복덕방 20여 곳에 매물을 구한다고 말해놨으나, 가물에 콩 나듯 전화가 온다. 집이 하나 나와 보러 간다고 하니, 집주인은 5천만원을 더 불렀다.
속은 숯덩이지만 울며 겨자 먹기로 살지 고민이란다. 다시 1억원을 더 부를지 몰라서다.
몇 시간 뒤 회사 앞 식당. 이승준 기자가 서 기자와 카톡으로 나눈 대화를 마저 들려줬다. 서 기자 남편 친구네 얘기였다. 1억7천만원 차익을 남기고 오래된 홍제동 아파트를 팔았는데 옮기려고 맘먹었던 새 아파트가 그새 1억원이나 뛰었단다. 감당할 수 없어 결국 부모님과 합쳤다고. 아작아작 씹던 비빔밥의 열무가 목에 걸릴 뻔했다.
1억원이라니.
문득 12년 전 일이 떠올랐다. 그때는 정말이지 식당, 술집에서 미친 집값 얘기가 빠지는 일이 없었다. 잊고 싶은 과거가 현재진행형으로 밥상에 다시 올라왔다는 건 위험 신호다.
집에 들어가 자는 아내를 깨웠다. 집값이 얼마나 뛰었는지 아냐며. 우리가 사는 장모님댁 집값도 꿈틀댔다. 1년새 8천만원이 뛰었다. 연간 상승률로 따져보니 18%였다. 맞벌이 부부가 열심히 일해 1년에 1천만원 저축하기도 어려운 세상인데. 며칠 전 지인이 페이스북에 띄운 글을 보면서도 설마 했다. “오랜만에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시세를 네이버에서 검색해봤다. 불과 1년 남짓 50% 넘게 뛰었다. 그전에 살던 집은 이사 올 때 대비 100% 약간 못 미치게 뛰었다.” 그게 현실이었다. 서 기자가 알려준 부동산 시세 앱을 깔아보니 1억~2억원 오른 아파트가 주위에 수두룩하다. 그제야 집값 기사들이 눈에 확 들어왔다. 원인과 처방은 매체의 이념 성향 따라 제각각이었지만 현상 진단은 이구동성이었다. 폭등이었다.
정부가 집값을 잡겠다며 종합부동산세 개편안을 발표한 게 7월 초인데, 효과가 없었다. 되레 역풍이 불었다. 엄포를 놨다가 뚜껑을 열어보니 ‘찔끔 증세’를 한 게 빌미가 됐다. 팔짱을 끼고 지켜보던 시장은 정책 발표 뒤 기다렸다는 듯 꿈틀댔다. ‘정책의 역설’이었다.
“정부가 대책을 발표할수록 상황은 더 꼬인다. ‘객관적인’ 그래서 아무 책임도 지지 않는 언론의 태도는 결과적으로 정부 대책이 아무 효과가 없다고 선전할 뿐이다. 신이 난 이른바 시장주의자들은 공급만이 살길이라며 정부를 질타하는데, 이는 결국 집값이 더 오르라는 주술이나 다름없다.”
이 말은 영락없이 현재 상황과도 딱 맞아떨어진다. 김수현 청와대 사회수석이 2011년 (오월의봄)에서 널뛰기식 부동산 정책을 꼬집으면서 한 말이다. 그는 집값이 날뛰던 노무현 정부 때 청와대 사회정책비서관으로 부동산 정책을 주무했다. 당시 정부는 부동산 시장과 힘겨루기를 하면서 정책을 쏟아냈고 질 때마다 집값을 띄우는 불쏘시개로 쓰였다. 그가 이번엔 부동산 정책을 총괄하는 자리에 앉아 있다.
다시는 실패하고 싶지 않을 것이다. “참여정부가 왜 실패했냐를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다만 어떤 경우든 문재인 정부는 부동산 가격 문제에 대해 물러서지 않을 것은 분명하다.” 오락가락하지 않겠다는 뜻이다.그의 말마따나 정책의 일관성이 중요하다. 그런데 중앙과 지방이 엇박자다. 옥탑방 한 달살이 뒤 내놓은 박원순 서울시장의 강북 프로젝트는 불붙은 부동산 시장에 기름을 끼얹었다. 예상보다 저강도 종부세 개편안이 낳은 1차 정책 신뢰의 하락에 이은 2차 신뢰 하락이다. 한두 번 더 쌓이면 정책은 신뢰를 잃는다. 그 뒤엔 백약이 무효다.
류이근 편집장 ryuyigeun@hani.co.kr전화신청▶ 1566-9595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마이웨이‘ 대독 시정연설 12시간 만에…“7일 대국민담화·기자회견”
엄마, 삭발하고 구치소 간다…“26년 소송에 양육비 270만원뿐”
공멸 위기감 속 윤에 “대국민 사과” 직격탄 쏜 한동훈…특검은 침묵
[속보] 크렘린궁 “푸틴, 최선희 북한 외무상과 만나”
해리스 오차범위 내 ‘우위’…‘신뢰도 1위’ NYT 마지막 조사 결과
“보이저, 일어나!”…동면하던 ‘보이저 1호’ 43년 만에 깨웠다
10도 뚝, 5일 아침 한파주의보 가능성…6일은 일부 지역 영하
정부, 교전 중인 우크라에 무기 지원?…“파병으로 이어질 수밖에”
일본 왕실 보물전…한국엔 없는 ‘신라 가야금’ 천년의 자태
자영업자들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유레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