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2월18일 조희대 당시 대법관 후보자가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윤석열 대통령이 새 대법원장 후보자로 조희대(66) 전 대법관을 지명했다. ‘윤 대통령 친구의 친구’로 삼권분립 논란에 휩싸였던 이균용 후보자가 비상장주식 신고 누락 등 도덕성·자질 논란까지 겹쳐 국회 임명동의 표결 끝에 낙마한 지 33일 만이다.
조희대 후보자는 보수적 입장을 고집하는 ‘소신파’로 유명하다. 대법관 시절 양심적 병역거부는 정당하다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이 나올 때 반대 의견을 낸 것(2018년)이 대표적이다. “진정한 양심이 존재하는지 심사할 수 없다”는 이유로 ‘양심적 병역거부=감옥행’이라는 옛 법원 결정을 옹호했다. 방송통신위원회 제재가 부당하다고 판결(2019년)이 난 ‘다큐멘터리 <백년전쟁> 공정성 논란’에 대해서도 조 후보자는 소수의견을 냈다. 이승만·박정희를 친일파로 묘사한 것은 “개인 인격을 악의적으로 공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 후보자는 2019년 국정농단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은 어떤 뇌물도 요구하지 않았고 이익을 취했다고 드러난 것이 없다”고 소수의견을 냈다. 그는 2014년 3월 박 전 대통령에게 대법관 임명장을 받았다.
이번 지명이 지역 편중을 전혀 의식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 후보자와 이종석 헌법재판소장 후보자(10월18일 지명) 모두 경북 출신으로 경북고, 서울대 법대를 나왔다. 다음 총선이 5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윤 대통령이 10월26일과 11월7일 박 전 대통령과 두 차례 만나는 등 보수 텃밭인 대구·경북 표심에 온갖 공을 들이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조 후보자가 대법원장 임기 6년을 채울 수 없다는 점도 눈에 띈다. 법원조직법은 대법원장 정년을 70살로 규정한다. 임명되더라도 임기는 3년6개월가량으로, ‘초단기 대법원장’이 된다는 의미다.
김양진 기자 ky0295@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김민아 노무사 별세…노동법 지켜지지 않는 현실이 일터였던
“떡볶이 먹방, 맹탕 외교 지친다”…민주, 13차례·578억 순방 비판
김기현, 사퇴 언급 없이 “기득권 포기”…또 버티기 나서나
금태섭 “김건희 여사 문제 지적하니 화 내고 그냥 넘어가”
혁신위 제안 내치더니…김기현 돌연 “모든 기득권 내려놓겠다”
‘K 방산’ 3조 날아가나…폴란드 정권교체로 계약 무효론 등장
[사설] ‘김건희 명품백 의혹’ 못 본 체하는 검찰, 이게 공정인가
이스라엘은 부인하지만…‘가자 주민 밀어내기’ 진행되고 있다
검찰, ‘신림 성폭행 살인’ 최윤종 사형 구형…“반성 안 해”
[포토] 악어 위에서 비닐·캔·콘돔까지 나온다…쓰레기 운하의 비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