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09호 표지이미지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지명한 장관 후보자들과 관련해 각종 논란이 이어지고 있어, 국회 인사청문회까지 고강도 검증이 계속될 전망이다.
윤 당선자의 40년 지기인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경북대병원 재직 당시 자녀들이 잇따라 경북대 의과대학에 편입한 사실이 알려져 ‘아빠 찬스’ 논란이 일고 있다. 딸(29)은 정 후보자가 경북대병원 진료처장(부원장)으로 있던 2016년 12월 ‘경북대 의과대학 학사 편입 전형’에 합격했다. 경쟁률 10.2 대 1(33명 모집에 338명 지원)을 뚫었다. 2017년 8월 정 후보자가 경북대병원장이 된 뒤 있었던 ‘경북대 의과대 학사 편입 전형’에서는 아들(31)이 대구·경북 지역 소재 고등학교/대학교 출신을 대상으로 한 특별전형으로 편입했다. 경쟁률은 5.8 대 1(17명 모집에 98명 지원)이었다. 해당 특별전형은 정 후보자의 아들이 입학한 2018년에 처음 생겼다. 정 후보자의 딸은 서울대 이공계열, 아들은 경북대 이공계열을 졸업한 뒤 편입했다. 이들은 서류평가 기준에 포함된 봉사활동 이력으로 경북대병원에서 환자 이송 업무 등을 한 경험을 적었다. 이러한 의혹에 대해 정 후보자는 “특혜는 없었다. 청문회에서 충분히 답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또한 과거 <매일신문>에 기고한 칼럼(2012년 10월29일, 2013년 11월18일)에서 ‘결혼과 출산이 애국’ ‘암치료 특효약은 결혼’ ‘3m 여성 청진기’ 등이라는 표현을 써서 입길에 올랐다. 정 후보자는 “마음이 불편하고 상처받은 분들이 있다면 대단히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광고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는 2009년부터 13년 동안 기업 3곳의 사외이사를 하며 총 8억원을 받아, 산업정책 주무장관으로서 이해충돌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후보자 역시 ‘출산 기피 부담금’ 도입을 주장했던 언론 칼럼(<조선일보> 2010년 12월16일)이 최근 논란을 빚었다. 그 뒤 이 후보자의 블로그(‘이창양 교수의 경제산책’) 게시글은 모두 삭제됐다. 삭제된 글 가운데는 ‘혁신학교는 국민을 바보화’ ‘13년째 대학 등록금이 동결돼 교수 연봉이 제자리’ 등의 표현이 있었다고 한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2021년 4월16일 <조선일보>에 기고한 ‘남녀 편 가르기를 양념으로 추가한 문 정부’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문재인 정부가 성인지 예산을 국방 예산과 비슷한 수준으로 증액했다는 주장을 편 것이 논란을 불렀다. 성인지 예산은 정부 부처의 예산이 성평등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예산 배분을 변화시키려는 재원 배분 과정인데, 특정 부처의 집행 예산과 단순 비교했기 때문이다. 당시 일부 남초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퍼지던 ‘성인지 예산’ 가짜뉴스와 비슷한 내용을 김 후보자가 주장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파면 이틀째 ‘관저정치’ 중…“대통령 아니라 집단 보스”
“주가폭락에 퇴직연금 증발 중…트럼프는 골프 중” 부글대는 미국
윤석열, 오늘은 나경원 1시간가량 독대 “고맙다, 수고했다”
‘탄핵 불복’ 이장우 대전시장, 윤석열 파면 뒤 “시민 보호 최선” 돌변
윤석열 파면 직후 대선 승리 다짐한 국힘…“뻔뻔” “해산해야”
이재명, ‘대장동 증인 불출석’ 과태료 처분에 이의 신청
‘윤석열 파면’에 길에서 오열한 김상욱 “4월4일을 국경일로”
“이제 전광훈 처벌을”…탄핵 기각 대비 유서 썼던 목사님의 일갈
기쁨 담아 나부낀 색색깔 깃발들…“이제 사회 대개혁으로”
세계가 놀란 ‘민주주의 열정’, 새로운 도약의 불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