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의성군 산불 발생 나흘째인 2025년 3월25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하화1리에 강풍에 날아온 산불 불씨로 인한 화재가 발생해 있다. 연합뉴스
경남 산청, 경북 의성 등지에서 발생해 2025년 3월27일 현재까지 27명이 숨지고 3만6천㏊의 산림을 앗아간 ‘2025년 산불’은 역대 최악의 재앙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그런데 현장에서 산불의 흔적을 쫓아가다보면 뜻밖에도 사람의 흔적을 반복적으로 만나게 된다. 원래 울창한 숲의 입구가 있어야 할 산자락 비탈까지 메마른 풀밭과 경작지가 있었다. 다양한 산림이 존재해야 할 숲에 소나무가 주로 자리를 잡고 있었다. 조림·훼손 등과 같은 인위적인 손길이 숲을 왜곡시킨 것이다. 그러면서 깊은 골짜기까지 볕이 잘 들고 바람이 솔솔 통했다. 함부로 길을 내고 반복적으로 숲 가꾸기(솎아베기)를 했기 때문이다.
‘숲 가꾸기는 산림 내 연료 물질을 제거하여 산불 위험성을 크게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2025년 3월10일 산림청은 보도설명자료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그런데 현장에서 보면, 큰 나무만 남기는 숲 가꾸기는 소나무를 남기고 참나무류 등 활엽수나 떨기나무, 덩굴 등을 모두 제거하는 사업으로 운용되고 있다. 물기를 많이 머금은 활엽수림이 다른 나무들과 함께 빽빽한 숲을 이루면서 바람을 약화하고 산불 확산을 막아줬는데, 소나무 단순림은 풍부한 기름 성분(수지)으로 인해 산불을 숲 우듬지로 끌어올린 뒤 멀리 확산시킨 불 폭탄 노릇을 한 것이다.
게다가 산림청장은 2022년 6월3일 경남 밀양 산불을 두고 ‘임도가 없어서 진화 인력과 소방차가 접근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는 취지로 이야기한 적이 있다. 하지만 잘 닦인 임도가 있었던 ‘경남 두양리의 은행나무’와 ‘경북 의성의 고운사’가 이번 산불로 홀라당 타버렸다. 이 점을 지적하니 산림청은 “장비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기후위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려웠다”는 변명을 늘어놓았다. 임도가 숲의 건조와 산불 확산의 원인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반성과 책임감을 보이지 않은 것이다.
오래전부터 소방청이 산불 진화 업무를 해야한다는 지적이 있어왔지만, 산림청은 전문성을 이유로 이 업무를 꽉 틀어쥐고 있다. 그러면서도 고령의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들을 단기 계약직으로 고용하며 전문성 교육도 제대로 하지 않고 있고, 장비도 허술하게 지급한다. 그 결과가 최악의 산불, 그리고 진화 작전 실패다.
예산을 투입해야 할 곳에는 투입하지 않고, 정작 가만히 놔둬야 할 숲에는 엉뚱하게 예산을 투입해 마음껏 휘저어놨다. 이번 산불을 계기로 시민들의 관심이 절실해졌다.
김양진 기자 ky0295@hani.co.kr·채윤태 기자 chai@hani.co.kr
산불, 솔방울 뻥뻥 터지며 순식간에 번져
https://h21.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57085.html
헬기는 물 흘리고, 지상 잔불 정리 안 되고
https://h21.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57075.html
비숙련·계약직 6070 진화 현장에 던져졌다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7084.html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죽은 윤석열’ 누가 먼저 버릴까, 극우? 국힘? 검찰? [4월7일 뉴스뷰리핑]
[단독] 파면 결정문, 윤석열 아닌 ‘회사동료 김OO’ 대신 수령
‘이진숙 임명’ 신동호 EBS 사장 취임 제동…법원 “집행 정지”
‘어른 김장하’ 장학생 문형배, 자폐아 키우며 세상 이해한 김형두 [영상]
윤석열, 파면 나흘째 관저에 버티기…“증거인멸 가능성 커져”
한국 -5%, 중국 -7%, 일본 -8%…트럼프 관세 폭탄에 ‘초토화’
시민단체 “전광훈 구속해야”…경찰 “모든 가능성 열고 수사”
‘개헌’ 거리 둔 민주, 힘 실은 국힘…대선 앞 다른 셈법에 힘 빠질 듯
[단독] 헌재, 프린트도 안 썼다…선고요지 보안 지키려 ‘이메일 보고’
[단독] ‘대통령 관저 특혜’ 의혹 재감사 담당, 돌연 지방 비감사직 발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