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윤섭 기자 kwak1027@hani.co.kr
휴게실에서
휴게실에 어설프게(?) 자란 대나무 사진입니다. 벽면에 생긴 그림자가 왠지 멋져 보여서….

김대령
광고
사물을 재해석하다: 그림과 사진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림은 화가가 임의대로 대상을 창조해 그릴 수 있는 반면, 사진은 이미 창조된 공간을 네모난 프레임으로 옮겨올 뿐입니다. 그러나 사진가도 판단에 따라 대상을 재해석할 수 있음을 이 사진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선과 여백을 중시하는 한국화의 주요 소재인 대나무를 찍으면서 이처럼 그림자를 이용하다니 얼마나 좋은 해석입니까?
하루 중의 시간대에 따라 빛과 그늘이 달라집니다. 그중 한순간을 골라내는 것은 사진가가 쓸 수 있는 몇 가지 선택사항 중 하나입니다.
그림자가 좀더 뚜렷하게 보인다면 더할 나위가 없겠습니다.
광고
으랏차차
사진 옆에 사람 얼굴이 조금 나와 원사진을 살짝 ‘크롭’ 했습니다. 그래서 비율이 3:2가 아니네요. 광각의 맛을 살리고 싶어 더 이상 크롭을 통한 정리는 하지 않았습니다. 이 사진은 어떤지 좋은 말씀 부탁드립니다.

광고
김형우
운동감: 공을 차는 순간보다 차기 직전의 사진이 더 힘이 넘칩니다. 사람들은 사진을 보면서 어떤 상상을 하게 되는데 이미 공이 발에 닿은 사진보다 그 직전의 장면이 더 여운을 많이 남깁니다. 다음 장면에서 공이 얼마나 멀리 날아갔을지 아니면 공을 차다가 미끄러졌을지 그 결과가 궁금해집니다.
그림자와 어우러져서 맛이 두 배가 되었고, 사람과 공과 그림자가 모두 지면에서 떨어져 있는 순간에 셔터를 누른 점도 칭찬할 만합니다. 왼쪽에 앉아 있는 학생의 역할이 불분명합니다. 확실하게 자리매김을 시켜주든지 아니면 잘라내어 오른쪽 공간을 더 강조하는 것도 좋습니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계엄·포고령·국회장악…하나라도 중대 위헌이면 윤석열 파면
‘MBC 적대’ 이진숙, 지상파 재허가 심사 강행
아이유, 극우 ‘좌파 아이유’ 조롱에 “감당해야 할 부분”
한덕수·최상목·이복현 ‘눈치게임’ 시작 [그림판]
“저희 어무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클릭…거기가 어딥니까
초등학교서 마시멜로 태우며 화산 실험…14명 병원행
세상의 적대에도 우아한 68살 배우 “트랜스젠더인 내가 좋다”
부산 남구 6급 공무원, 계엄 옹호 의원·국힘 비판했다 중징계 위기
케이블타이에 감긴 기자, 입 열다…계엄군 “가져와” 하더니 [영상]
4·2 재보선 최종 투표율 26.55% 잠정 집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