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윤섭 기자 kwak1027@hani.co.kr
반/반
![](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90/387/imgdb/original/2007/0215/021104000120070215133_1.jpg)
겨울, 친구와 경주에 가서 찍은 사진입니다. 하늘과 땅으로 사진의 반을 나누어보았습니다. 이런 구도는 어떠한가요? 그리고 중간에 사람이 있는 것이 괜찮나요? 위치가 적당한지도 알고 싶습니다. 강연우
구도와 의도:
이 사진에 들어 있는 요소는 잔디밭, 하늘, 사람, 삼각대와 카메라, 그리고 뒤편으로 보이는 나무들입니다. 사진 안의 요소들을 조화롭게 배치하는 것이 구도라고 본다면, 이 사진에서도 구도가 좋은지 나쁜지를 따져볼 수 있습니다. 그전에 반드시 사진가의 의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흔히 삼분할 구도라고 해서 3분의 1 되는 지점에 요소들을 배치하는 것이 미적으로 가장 안정감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늘 옳지는 않다는 점을 분명히 해둡니다. 원본을 트리밍한 1번의 경우 잔디밭이 많이 보이고 하늘이 조금 보입니다. 그래서 누워서 카메라를 들고 있는 인물의 동작보다는 계절적 느낌 같은 주변 환경이 더 강조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르게 트리밍한 2번의 경우 하늘이 많이 보입니다. 이때는 누운 인물이 하늘을 찍으려 한다는 느낌이 강하기 때문에 상상의 여지가 많이 생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사진을 찍은 사람이 과연 어떤 의도를 갖고 1:1 구도인 원본 사진을 찍었는지에 따라 상황이 달라집니다. 물론 아무렇게나 비율을 나눠도 항상 사진으로 성립한다는 말은 아닙니다. 객관적인 입장에서 본다면 1:1 구도도 충분히 사진으로 성립하며 무료한 일상, 여유로운 휴일 같은 분위기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어느 사진이 더 좋고 나쁜지를 따지려 하지 말고 ‘내가 어떤 의도로 이 사진을 찍을까’를 고민하자는 이야기입니다.
![](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465/290/imgdb/original/2007/0215/0211040001200702153.jpg)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박현수 경찰국장 서울청장 임명 임박…윤석열 ‘옥중 인사권’ 논란
“인도가 초청”…검찰, 김정숙 여사 ‘타지마할 외유’ 의혹 무혐의
‘해뜰날’ 가수 송대관 별세
“대왕고래 아닌 대왕구라였다”… 국정 브리핑 1호의 몰락
[영상] 1분15초 만에 들통난 윤석열 ‘거짓말 영상’, 실소 터진 민주당
전두환 867억 추징 못하나…연희동 자택 소유권 이전 소송 각하
‘총구 외부로’ 압박에도…‘비명’ 김경수·김부겸 “민주당 포용성 촉구”
윤석열 “조기 대선은 하늘이 결정…모래알 돼선 안 돼”
[단독] 여인형 메모 속 “ㅈㅌㅅㅂ 4인 각오”는 지작·특전·수방·방첩 사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