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자도표
매해 6천 명씩 10년. 현대경제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보고서에서 이산가족 사망률과 평균 기대여 명으로 추산한 70살 이상 남북 이산가족의 이상적인 상봉 추진 속도다. 앞으로 20~24년이 지나 면 현재 이산가족은 모두 사망하고, 특히 70살 이상은 대부분 10년 안에 사망할 수밖에 없기 때 문이다. 1988년부터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센터에 등록하기 시작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모두 12만8808명이다. 이 가운데 생존자는 전체의 7%(7만3461명)이며, 1985년 시작한 이산가 족 상봉은 모두 4386건(2만1891명)이 성사됐다. 그 누구보다 이산가족들에게 남북회담 무산이 아픈 것도 이 때문이리라.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배우 김새론 자택서 숨진 채 발견
김새론 비보에 김옥빈 ‘국화꽃 애도’…지난해 재기 노력 끝내 물거품
눈살 찌푸리게 한 금남로 극우집회, 더 단단해진 ‘광주 정신’
계엄군, 국회 본회의장 진입 막히자 지하로 달려가 전력차단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대통령실, 광주 탄핵찬성 집회 ‘윤석열 부부 합성 영상물’ 법적 대응
대통령·군부 용산 동거 3년…다음 집무실은? [유레카]
질식해 죽은 산천어 눈엔 피가 맺혔다
[단독] 명태균 “오세훈 ‘나경원 이기는 조사 필요’”…오세훈 쪽 “일방 주장”
[단독] 수사2단, ‘노상원 부정선거 자료’ 보며 선관위 출동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