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전경제입니다. 제가 추위를 싫어하는 걸 어찌 아셨나요?
전 1년 중 10월이 제일 무서워요.(ㅜ.ㅜ) 코스피 지수가 10% 넘게 빠졌던 10월24일을 기억하시나요. 이날 800선이 무너졌죠. 근데 1929년 10월24일을 생각하면 정말 끔찍해요. 사람들은 그날 미국에 ‘대공황’이란 애가 왔다고 하더군요. 그때부터 10년간 절 괴롭혔죠. ‘블랙먼데이’도 아시죠? 걔도 1987년 10월19일 월요일 미국에서 태어났죠.
왜 추울 때만… 한겨레 김경호 기자
근데 증시 대폭락 기록이 올해 10월에 또 깨졌어요. 올 10월29일 기준으로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가 한 달간 284포인트 떨어졌대요. 월간 낙폭으로는 미국 증시가 생긴 이래 최대라네요. S&P의 데이비드 위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렇게 말했더군요. “10월은 언제나 무서운 달이다. 올 10월에도 대부분 주식시장이 폭락했고 바닥이 드러났다. 명성에 맞게 정말 ‘마(魔)의 10월’이었다.”
‘오일쇼크’도 10월생이에요. 1차 오일쇼크는 1973년 10월6일 제4차 중동전쟁 발발로 시작됐죠. 한 달 만에 국제유가가 약 3.9배로 올랐죠. 박정희 정권의 10월 유신도 왠지 으스스하게 생각나네요. 이용의 의 노랫말 ‘10월의 마지막 밤’은 참으로 감미로운데, 정치와 경제한테는 왜 이리 가혹한지. 국제통화기금(IMF) 사태는 1997년 11월21일 한국에 왔지요.
이런 경험들이 쌓여 경제위기는 늘 추위와 함께 온다는 느낌이 들지 않을까요. 제가 생각하기엔 정치·경제적인 이유도 있을 것 같아요. 정치적인 이유는 대통령 선거가 아닐까 싶네요. 한국은 12월, 미국은 11월에 대통령 선거를 치러요. 대통령 선거는 현직 대통령에게는 레임덕의 극치죠. 당연히 위기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부치게 되고. IMF 위기는 김영삼 전 대통령 임기 마지막 해에 왔고,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도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의 임기 마지막 해인 올해 터졌죠.
경제적인 이유를 따지자면, 기업들의 한 해 실적이 연말에 드러나기 때문일 거예요.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던 대우그룹이 부도난 것은 2000년 11월이었죠. ‘미국판 대우 사태’로 불리는 ‘엔론 사태’는 꼭 1년 뒤인 2001년 11월에 터졌죠. 기업은 분기마다 실적을 발표하지만, 연말 결산 시점이 되면 부실이 드러나기 더 쉬워지죠. 은행들도 한 해 결산을 위해 부실채권에 대한 심사를 강화할 테고.
심리적 요인도 있겠네요. 추위로 움츠릴 때 호주머니 사정이 어려워지면 더 어렵게 느껴질 테니. 아무튼, 추운 겨울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흑.(ㅜ.ㅜ)
이태희 기자 hermes@hani.co.kr
*독자 여러분의 질문을 받습니다. 손가락질당할까 묻기 두려웠던 4차원 질문, 아무도 질문하지 않았던 이 세상 최초의 질문, 부지런히 발로 뛰어야 답을 얻을 수 있는 질문을 anyone@hani.co.kr보내주십시오. 당신의 ‘거대한 의문부호’에 느낌표를 준비하겠습니다.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명태균 특검법’ 법사위 문턱 못 넘어…국힘 “조기 대선 발목 잡기”
[단독] 윤석열 ‘빨간날’ 변호인 접견, 조주빈 일당 이후 처음
“육사 출신이 쿠데타 7번 시도…이런 학교 세계에서 처음 봤다”
권영세 “계엄해제 찬성 안했을 것”…‘헌재 불신’ 여론에 당 맡기나
인격살인 악플, 처형대 된 언론…김새론을 누가 죽음으로 몰았나
명태균 쪽 “김건희는 반드시 특검 수사 대상”…사건 이송에 반발
명태균 “황금폰 때문에 검찰이 수사 조작” 주장하다 법정서 쫓겨나
공무원 노조 “정년 65살로 연장” 국민동의청원 돌입
“김건희 통화…‘조국 수사한 김상민 검사 국회의원 되게 해주세요’”
‘헌재 깎아내리기’ 뭉친 국힘·극우…법정서 밀리자 장외서 욕설·억지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