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병든 군대, 병든 사회의 거울

등록 2014-08-12 16:36 수정 2020-05-03 04:27
<ahref href="mailto:morgen@hani.co.kr">morgen@hani.co.kr">



윤 일병 사건을 계기로 봇물 터진 듯 쏟아져나오는 군대 폭력의 실상을 지켜보노라니 여러모로 심란하기 그지없다. 아마도 아들이 입대를 앞두고 있는 터라 더욱 그런 모양이다. 애처로움 때문인지 솔직히 요즘엔 얼굴 쳐다보기도, 먼저 말을 붙이기도 괜스레 미안할 지경이다.
군대 폭력은 군대라는 극도의 폐쇄 공간에서 아무런 견제나 감시 없이 작동하는 규율 및 통제권력이 얼마만큼 개인과 사회에 해악을 끼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다. 장교와 사병을 나누고, 사병 간에도 계급에 따라 일정한 권력을 ‘위임’하는 편리한 구조는, 통제와 규율이라는 명분 아래 효율적으로 개인을 집단의 목적 아래 복종시키는 기제일 뿐이다. 폭력이 일상화되고, 심지어 폭력에 시달리던 피해자가 어느새 죄의식 없는 새로운 가해자로 탈바꿈하는, 폭력 구조가 대물림되는 비밀이기도 하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징병제를 채택한 국가에선, 규율 및 통제권력의 강도가 유독 세기 마련이고, 결국엔 다양한 체험으로 삶을 살찌워야 할 한창 나이의 젊은이들이 끊이지 않는 폭력 아래 인간성을 무참히 유린당하고 파괴당하기 일쑤다.
그간 군대 폭력 사건의 꼬투리가 드문드문 드러날 때마다, 군 당국은 서둘러 다양한 대책을 쏟아냈다. 정부도 지휘계통의 실무책임자 엄벌과 문책으로 대응해왔다. 하지만 윤 일병 사건은 지금까지와 같은 미봉책만으로는 제2, 제3의 희생자를 더 이상 막을 수 없는 임계치에 이르렀음을 분명히 일깨워준다. 더 이상 군 내부의 자정 능력과 자기반성에만 기댈 일은 아니다. ‘군대 외부’로부터의 일상적이고 견고한 견제 및 감시 체제를 갖추지 못한다면,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디에선가 야수 같은 폭력 아래 신음하고 있는 젊은이가 거친 숨을 몰아쉬며 삶의 마지막을 고민하는 비극을 막아내지 못할 것이다.
군대 폭력의 구체적 양태가 미세하게 변모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지 않나 싶다. 과거 군대 폭력이 사병들 혹은 후임병을 상대로 기강을 잡는다거나 통제를 행사하기 위한 ‘거시적’ 목적에서 주로 행사됐다면, 요즘 들어선 집단 내 특정 병사를 집단적으로 괴롭히거나 따돌리려는 ‘미시적’ 폭력이 늘고 있다. 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맹목적인 생존경쟁 논리가 결국 경쟁에 따른 불안감을 떨쳐내는 ‘거짓 치유’와 ‘거짓 위안’의 방편으로 우리 안의 타자를 상대로 한 구별짓기와 배제하기를 통해 깊숙이 내면화하는 모습 그대로다. 병든 군대가 병든 사회의 거울임은 자명한 이치다.

</ahref>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