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슬릭 인스타그램 갈무리
슬릭은 대한민국의 래퍼다. 하지만 <쇼미더머니>보단 인권행사에 더 자주 등장했다. 아무도 해치지 않은 음악을 만들고 싶어 했기 때문이다. “여긴 아직도 기집애 같다는 말을 욕으로 한다면서, 아직도 게이 같다는 말을 욕으로 한다면서, 아직도 아무도 그게 당연하지 않다는 걸 모른다면서, 그게 힙합이라고 하면 나는 오늘부터 힙합 관둠.”(SLEEQ’s MIC SWAGGER)
2016년만 해도 한국 힙합에서 ‘여혐’은 주류 단어였다. 여성 래퍼의 사진을 보고 자위해본 적 있다는 내용을 가사로 써서 인기를 얻고, ‘따먹는다’ ‘다리 좀 벌려보라’는 성적 표현이 넘쳐났다. 그 속에서 슬릭은 페미니스트 선언을 했다.
시간이 흘러, 2020년이 되었다. 문제의 가사를 적은 뮤지션들은 사과하거나 모욕죄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리고 슬릭도 소녀시대 멤버와 같이 예능 프로그램에 나오게 된다.
엠넷(Mnet) <굿걸: 누가 방송국을 털었나> 1화가 방영되는 날, 슬릭의 팬들은 조마조마했다. 탈코르셋을 하고, 지옥에서 온 페미니스트라 말하고, 비건인 사람이 쟁쟁한 연예인들과의 단체 생활(?)에 잘 살아남을 수 있을까? 하지만 그녀는 사람들의 편견을 깨고 시청자 마음에 작은 불씨를 남겼다. 나를 지키면서도 내 갈 길 갈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였다.
방송이 끝나고, 슬릭은 <걸어가>라는 곡을 냈다. “더 나은 길로 걸어가/ 더 나의 길로 걸어가” 인터뷰에 따르면 원래 그 부분의 가사는 ‘더 곧은 길로/ 더 좋은 길로/ 더 옳은 길로/ 더 뻗은 길로’ 등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자신의 정치적·사회적 성향이 많은 사람에게 알려지면서, 이런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강요로 느껴질까봐 고민 끝에 수정했다고.
어찌 됐든 신념은 자신만의 것이고 이에 동의한다면 자신과 더 깊은 대화를 나눌 수 있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공존하는 데는 문제가 없어야 한다고 말하는 슬릭. 그 생각마저 고마울 따름이다. 최근에는 소속사도 옮겼다. 가을방학, 김사월, 오지은 등 훌륭한 뮤지션이 대거 포함된 ‘유어썸머’에서 더 나은 자신만의 길을 갈 수 있길 응원한다.
정성은 콘텐츠 제작사 ‘비디오편의점’ 대표PD
관심분야 - 웃기고 슬픈 세상사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계엄·포고령·국회장악…하나라도 중대 위헌이면 윤석열 파면
아이유, 극우 ‘좌파 아이유’ 조롱에 “감당해야 할 부분”
‘MBC 적대’ 이진숙, 지상파 재허가 심사 강행
윤석열 파면, ‘위헌 행위·국민 신임 배반’ 중대성으로 갈린다
“저희 어무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클릭…거기가 어딥니까
한덕수·최상목·이복현 ‘눈치게임’ 시작 [그림판]
세상의 적대에도 우아한 68살 배우 “트랜스젠더인 내가 좋다”
부산 남구 6급 공무원, 계엄 옹호 의원·국힘 비판했다 중징계 위기
승복의 ‘ㅅ’도 언급 않는 윤석열, ‘계산된 침묵’ 의심
초등학교서 마시멜로 태우며 화산 실험…14명 병원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