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서다’와 ‘피하다’가 반드시 반대말은 아니다. 피하지 못하면 맞서야 한다. 징집률 90%에 가까운, 물 샐 틈 없는 징병국 한국의 병역거부자들이 그렇다. 병역거부 운동단체 ‘전쟁없는세상’이 진행 중인 스토리펀딩 제목은 ‘전쟁에 맞선 겁쟁이들’이다. 펀딩 스토리에서 “누군가가 나를 죽이거나 때리는 것도 두렵지만, 내가 누군가를 죽여야 하거나 때리는 일도 무섭습니다”라고 고백하는 운동이 2000년 이후 지속됐다. 마침내 10월18일 광주지방법원은 양심적 병역거부자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고등법원에서 나온 첫 무죄판결이다.
반복되는 말들의 무간지옥이다. 역시나 “그럼 군대 가는 청년은 양심 없나?”(무명씨·트위터) 같은 반발이 봇물처럼 쏟아진다. 블로그에 “양심적 병역거부? 입대자는 비양심?” 같은 말이 넘친다. 다시 ‘양심’이 문제다.
“‘양심’은 선한 마음이 아닌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진지한 내면의 소리”라고 (철수와영희 펴냄, 2008)은 정의한다. 병역거부운동은 ‘양심적’ 대신 ‘양심에 따른’이라는 표현을 써왔는데, “양심은 누구에게나 다양하게 존재하며, 양심-비양심의 이분법으로 규정될 수 없다는 점을 부각시키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은 병역거부자 30인의 편지와 이야기를 담았다.
그들은 “도저히”라고 말한다. 2001년 12월 병역거부를 한 오태양씨는 “사람 모양의 사격판을 향해… 방아쇠를 당긴다는 것, ‘찔러 총! 베어 총!’을 외치며… 총과 칼을 휘둘러야 하는 행위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었다”고 고백한다. 그는 “‘내면의 자기 진정성에 기초한 것인가?’라고 끊임없이 반문”하지만 “도저히” 총을 들지 못한다고 확신한다.
‘그렇게 하지 않고는 배기지 못하는 자신’을 알지만, 모두가 그렇지 않다는 것도 안다. 초등학교 교사를 하다 병역을 거부한 김훈태씨는 “그렇다고 다른 사람들에게 제 윤리적인 잣대를 들이대고 싶지는 않다”며 “그것 역시 하나의 폭력이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에 썼다.
“됐고!” 대신에 “그래서?”라는 태도를 취하는 당신이 참고할 책이 더 있다. (포도밭 펴냄, 2014)는 병역거부자 53인의 소견서를 ‘전쟁없는세상’이 엮었다. 이후 병역거부 선언문도 담겼다.
2010년 6월 병역거부를 선언한 조은씨는 “분열하기 때문에 병역거부를 선택한다”고 하지만 한 가지 확신은 있다. “만약 군대에 간다면 군대에 적응하기 위해 내 모든 도덕의식을 정지시켜야 한다는 얘기고, 그것은 곧 인간으로서 죽음이라고 생각한다”고 고백한다.
‘죽지 못해 간다’고 하지만 군대에 가는 것이 죽음과 같다고 느끼는 ‘양심’도 있다. 풀무학교를 다녔고 농부로 살고 싶은 최준호씨는 “제가 병역을 거부하는 이유는 자연과 더불어 살기 위해서”라면서도 “안 그러면 저는 죽고 만다는 생각을 하기 때문”에 군대를 거부했다.
저마다 내면의 소리가 달랐고, 강력한 신념에 근거한 것만도 아니다. 에서 현민씨는 “양심의 내용은 제각각이고, 몽상적이거나 순수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자신에게 병역거부를 설득할 만한 서사가 없다고 생각하고 “겁 많고 소심한 젊은이가 웅크리고 앉아 눈치를 보고 있을 따름”이지만 병역거부를 선택했다.
이준규씨의 2011년 5월 병역거부 선언문은 이렇게 끝난다. “제 여린 마음은 제게 다시 이야기합니다. 도망치라고. 군대에서 도망치라고. 내가 피투성이가 되는 걸 보고 싶지 않다고. 다른 사람에게 약해도 된다고, 아픈 건 잘못이 아니라고 이야기하고 싶다고 말입니다.”
‘그런’ 남자가 되지 않기 위해 병역거부한 이들도 있다. 들깨(김성민)는 병역거부 선언문에 “강한 남성으로 자랐”지만 “언제부터인가 강한 남성의 자리가 불편해졌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남성성에 기반한 차별을 만들어내고 그 구조를 지탱”하는 군대를 거부했다. 2006년 7월 병역을 거부한 박철씨는 에서 성별 이분법에 저항하며 “인간성이 ‘남자’나 ‘여자’에 종속되지 않을 권리”를 위해서 병역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이정식씨는 ‘폭력의 반대는 무엇인가?’라는 자문에 “나는 폭력의 반대는 (평화가 아니라) 침묵이라고 생각했어”라고 적었다. 침묵하지 않아서 수감됐다. 문상현씨는 장애인 운동가였고, 이승규씨는 지문 날인 거부자였으며, 오승록씨는 평화운동가였다. 고동주씨는 모태신앙 천주교인이고, 김도형씨는 불자다. 초등학교 교사 김훈태씨와 풀무학교 농부 최준호씨도 있다. 숱한 여호와의 증인도 있었다.
대체복무제 도입을 여기까지 밀고 온 이들은 판사가 아니라 병역거부자였다. 법관에게는 상급심(대법원·헌법재판소) 판결을 거부할 양심의 자유가 있지만, 병역거부자에게는 아직 그런 자유가 허용되지 않는다. 2006년 7월 병역을 거부한 경수씨는 “(이스라엘 키부츠에서) 팔레스타인 주수입원… 올리브열매”를 “All live 나무”라고 이름 붙인 친구들을 생각하며 병역거부를 결심했다. “병역거부는 올리브나무가 내게 가르쳐준 것처럼 더불어 살려는 하나의 태도이고, 적극적 평화를 모색해보려는 시도이다.”()
신윤동욱 기자 syuk@hani.co.kr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font color="#C21A1A">http://bit.ly/1HZ0DmD</font>
카톡 선물하기▶ <font color="#C21A1A">http://bit.ly/1UELpok</font>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명태균 “윤 부부와 나눈 가십거리가 중요하냐? 정치자금법만 조사 받아야”
금성호, 고등어 너무 많이 잡았나…해경 “평소보다 3∼5배 추정”
한동훈 “윤 규탄 집회, 이재명 위한 ‘판사 겁박’ 무력 시위”
청년들도 총궐기 “2년 반 만에 20년 망가져…윤석열 퇴진하라”
“촛불로 윤 정권 끌어내리자” 오늘 서울 도심서 첫 총궐기
이시영, 아들 업고 해발 4천미터 히말라야 등반 성공
문 정부서 6조8천억 받고 다음 정부에 100조 부담 넘겨
목줄 매달고 발길질이 훈련?…동물학대 고발된 ‘어둠의 개통령’
51살 남성 “이란 정부가 선거 전 트럼프 청부살인 의뢰했다”
‘아들 등굣길 걱정에 위장전입’ KBS 박장범, 스쿨존 속도 위반 3차례